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쇼핑·소비자

백화점 영유아복 ‘거품’…가격 절반이 ‘수수료’

등록 2012-11-27 20:41수정 2012-11-27 21:25

직수입 제품은 70%가 유통비용
국내 가격이 미·일·프보다 비싸
아기·어린이 옷 가격의 절반 이상이 유통비인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소비생활연구원은 27일 공정거래위원회의 지원을 받아 국내 유통 중인 영유아복의 가격 구조와 소비자 인식에 대해 조사한 결과, 백화점 수수료 등 유통 비용이 제조 비용을 압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원 조사 결과, 국내 브랜드 제품의 소비자 가격 가운데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한 요소는 백화점 수수료로 36%에 달했다. 판매사원 수수료까지 더하면 비율은 51%로 가격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예컨대 10만원 짜리 어린이 원피스를 하나 사면 5만원은 수수료인 셈이다. 제조원가의 비율은 25% 수준에 불과했다.

해외 상표를 달고 국내에서 생산하는 ‘해외 라이선스 브랜드’ 역시 국산과 비슷한 구조로, 여기에 제조원가의 2~10% 수준인 로열티가 붙었을 뿐이었다. 해외에서 생산된 제품을 국내 회사가 수입해 파는 ‘해외 직수입 브랜드’ 제품의 경우, 관세(수입원가의 13%)와 물류비(수입원가의 7%) 등의 비용이 추가로 발생해 유통비용이 판매 가격의 70%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격도 국내 브랜드보다 비싸 평균적으로 1.85배에 이르렀다.

백화점에서 판매되는 총 37개 브랜드를 대상으로 티셔츠, 바지, 원피스 등 세 가지 품목의 평균 가격을 비교한 결과, 국내 브랜드 12개 제품의 평균은 7만1254원, 해외 라이선스 브랜드 12개 제품은 6만8290원, 해외 직수입 브랜드 13개 제품은 13만1823원으로 조사됐다. 또 한국, 미국, 일본, 프랑스 등 4개국에서 모두 판매되고 있는 해외 직수입 브랜드 티셔츠 4개 제품의 평균 소비자가격을 비교한 결과, 한국을 100으로 놓았을 때 프랑스가 92.4, 미국 90.6, 일본 88.9 순으로 국내 가격이 외국보다 상대적으로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권오성 기자 sage5th@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박근혜 TV토론’ 방청객 질문까지 ‘사전조율’ 논란
박 ‘박정희 대 노무현’ 문 ‘과거 대 미래’ 프레임전쟁 시작
일 ‘홍백가합전’ 한국가수 쏙 뺀 까닭은?
중국 누리꾼 ‘항모 스타일’ 패러디 열풍
자동차 블랙박스 ‘저질 중국산’ 주의보
원더걸스 선예, 내년 1월 선교사와 결혼
예의 없는 학생, 그들이 내 스승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반도체·철강까지 관세폭탄 사정권…한국경제 직격 우려 1.

반도체·철강까지 관세폭탄 사정권…한국경제 직격 우려

‘삼성전자, 엔비디아에 HBM 납품’ 외신 또 오보 2.

‘삼성전자, 엔비디아에 HBM 납품’ 외신 또 오보

공정위 칼 빼든 ‘쿠팡 끼워팔기’…위법인가, 마케팅 수단인가 3.

공정위 칼 빼든 ‘쿠팡 끼워팔기’…위법인가, 마케팅 수단인가

역대 최고 고용률의 ‘그늘’…비자발적 퇴직·초단시간 취업 내몰려 4.

역대 최고 고용률의 ‘그늘’…비자발적 퇴직·초단시간 취업 내몰려

‘딥시크·트럼프발 악재’ 여파 환율 급등…‘1500 방어선’ 지켜낼까 5.

‘딥시크·트럼프발 악재’ 여파 환율 급등…‘1500 방어선’ 지켜낼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