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쇼핑·소비자

한정수량·파격할인 등 ‘블프’ 앞둔 SNS 사기광고 조심!

등록 2022-11-23 09:38수정 2022-11-23 09:42

소비자원 해외직구 피해예방주의보 발령
블랙프라이데이를 앞두고 한국소비자원이 피해예방주의보를 발령했다. 게티 이미지 뱅크
블랙프라이데이를 앞두고 한국소비자원이 피해예방주의보를 발령했다. 게티 이미지 뱅크

“한정수량·파격 할인 등을 조건으로 내건 에스엔에스 해외직구 광고에 혹~ 하지 마세요!”

25일 시작되는 대규모 글로벌 할인행사 ‘블랙프라이데이’(블프)를 앞둔 해외직구 성수기를 맞아 한국소비원이 피해 주의사항과 대처요령을 담은 ‘피해예방주의보’를 23일 발령했다.

소비자원에 최근 2년(2020~2021년) 동안 11~12월에 접수된 해외직구 온라인 물품 구매 관련 소비자 불만은 총 3230건으로, 품목별로는 의류·신발이 46.7%(1509건)로 가장 많았다. 이어 가전·아이티가 11.3%(366건), 지갑·가방·선글라스 등 잡화류가 10.1%(325건) 순이었다.

소비자 불만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구매 취소나 환불을 지연·거부하는 경우가 26.3%(848건)로 가장 많았고, 위약금·수수료·가격불만 19.5%(631건), 미배송·배송지연 19.0%(615건) 등이 뒤를 이었다. 품목별 소비자 불만 유형을 보면, 의류·신발과 잡화류의 경우엔 구매 취소나 환불 지연·거부가 각각 28.8%(434건)와 30.5%(99건)로, 아이티·가전은 제품하자와 품질·에이에스(AS) 불만이 34.4%(126건)로 가장 많았다.

소비자원은 해외 직구 성수기에 가격을 큰 폭으로 할인한다는 에스엔에스 광고로 소비자를 유인한 뒤 물품을 배송하지 않거나 연락을 차단하는 사기 의심 사이트의 피해가 커 소비자의 주의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특히 지나치게 싼 가격에 상품을 판매하는 사이트는 조심하고, 에스엔에스 광고를 통해 접속한 사이트의 경우 사기 의심 사이트인지를 한국소비자원 국제거래 소비자 포털에서 확인해볼 것을 권했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최근 원·달러 환율의 변동이 잦아 해외 직구 시 구매 시점에 따라 최종 구매 가격이 달라질 수 있다. 국내 가격과 꼼꼼하게 비교해 선택해야 한다”며 “관세·부가세, 배송대행료 등 추가비용을 포함한 최종 구매 가격을 확인하고, 구매 시 가급적 신용카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해외 사업자와 분쟁이 원만히 해결되지 않을 경우, 국제거래 소비자 포털에 도움을 요청할 수 있다.

유선희 기자 duc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90년 묵은 ‘상호관세’ 꺼낸 트럼프…‘관세 98% 폐지’ 한국은 안심? 1.

90년 묵은 ‘상호관세’ 꺼낸 트럼프…‘관세 98% 폐지’ 한국은 안심?

“퇴근 뒤 농사지으러 갑니다”…도시에서 찾은 자급자족의 길 2.

“퇴근 뒤 농사지으러 갑니다”…도시에서 찾은 자급자족의 길

금융시장의 ‘최후 보루’ 중앙은행…내란 이후 한은 총재의 결정 3.

금융시장의 ‘최후 보루’ 중앙은행…내란 이후 한은 총재의 결정

IMF “한국 경제 하방 위험”…정책기조 변경해 추경 편성 권고 4.

IMF “한국 경제 하방 위험”…정책기조 변경해 추경 편성 권고

다양·평등·포용 지우는 빅테크…‘테슬라 인종차별’에 머스크는 몸사려 5.

다양·평등·포용 지우는 빅테크…‘테슬라 인종차별’에 머스크는 몸사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