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쇼핑·소비자

김밥 한줄에 3000원이라니…

등록 2022-09-07 11:12수정 2022-09-07 19:41

소비자원 ‘참가격’ 8월 외식물가 조사
서울 김밥 평균 3046원…‘3천원 시대’
저렴한 분식의 대명사로 꼽히는 김밥도 이제 평균 3천원을 넘는 시대가 됐다. <한겨레> 자료사진
저렴한 분식의 대명사로 꼽히는 김밥도 이제 평균 3천원을 넘는 시대가 됐다. <한겨레> 자료사진

저렴하고 간편한 김밥으로 한 끼 식사를 해결하곤 했던 직장인 조아무개(서울 성북구·27)씨는 최근 회사 근처 분식집 김밥이 일제히 500~1000원씩 올라 ‘외식물가’ 상승을 체감한다고 했다. 조씨는 “가장 싼 기본 김밥도 이제 한 줄에 3500원으로 올랐고, 멸추김밥이나 돈가스김밥 등 프리미엄 김밥은 4800~5000원씩이나 한다”며 “치솟는 물가 속에 가뜩이나 지갑이 얇아진 사회 초년생에겐 이제 김밥도 부담스러운 가격이 됐다”고 말했다. ‘저렴한 분식’의 대명사로 꼽히던 김밥도 한 줄에 평균 3천원을 넘는 시대가 됐다.

7일 소비자원 가격종합포털 ‘참가격’에 따르면, 8월 서울 기준 김밥의 평균 가격은 3046원으로, 전달 2969원보다 2.59%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김밥 평균 가격이 가장 비싼 지역은 경남으로, 3177원을 기록했다.

서울 영등포구에서 분식집을 운영 중인 자영업자 정아무개(45)씨는 <한겨레>에 “햄, 단무지, 게맛살 등 김밥을 만드는 기본 재료의 가격이 전부 올랐다고 보면 된다”며 “특히 지난해 1만6천원 정도 했던 시금치(1㎏)가 요즘은 2배 가격인 3만원을 넘어서 7월부터 김밥 가격을 500원씩 전부 올릴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외식물가의 고공행진은 김밥 외 다른 품목에서도 이어졌다. 삼겹살(200g)은 1만8364원으로 지난달에 견줘 1.7% 올랐고, 김치찌개백반 가격도 7500원으로 1.0% 상승했다. 냉면(1만500원)과 삼계탕(1만5462원), 칼국수(8423원) 가격 또한 0.5~0.7%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외식물가 상승은 지난 2일 통계청이 발표한 수치에서도 드러난다. 통계청에 따르면, 8월 외식물가 상승률은 8.8%로, 1992년 10월(8.8%) 이후 약 3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유선희 기자 duc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삼성전자, 엔비디아에 HBM 납품’ 외신 또 오보 1.

‘삼성전자, 엔비디아에 HBM 납품’ 외신 또 오보

국내 항공사 항공기 416대 ‘역대 최다’…올해 54대 추가 도입 2.

국내 항공사 항공기 416대 ‘역대 최다’…올해 54대 추가 도입

합격률 자랑 뒤 깨알 글씨 “대구만”…과장광고 ‘공단기’ 억대 과징금 3.

합격률 자랑 뒤 깨알 글씨 “대구만”…과장광고 ‘공단기’ 억대 과징금

트럼프 ‘관세 전쟁’ 여파…코스피 2% 급락 2460선대로 4.

트럼프 ‘관세 전쟁’ 여파…코스피 2% 급락 2460선대로

공정위 칼 빼든 ‘쿠팡 끼워팔기’…위법인가, 마케팅 수단인가 5.

공정위 칼 빼든 ‘쿠팡 끼워팔기’…위법인가, 마케팅 수단인가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