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쇼핑·소비자

소비자단체 “2분기 밀가루·식용유 등 5개 생필품 20% 올라”

등록 2022-07-07 14:42수정 2022-07-07 15:00

35개 조사 품목 가운데 33개 상승…평균 9.9%
전년 대비 밀가루 31.3%·식용유 23.9% 올라
1분기와 비교해도 35개 중 33개 품목 4.3%↑
“우크라 전쟁, 인도네시아 팜유 수출중단 탓”
자료: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
자료: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
올해 2분기(4~6월) 생활필수품 가격이 1년 전보다 평균 10% 가까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상승률 상위 5개 품목은 평균 20% 올랐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는 2분기 생활필수품 35개 품목을 조사한 결과 33개 품목이 지난해 2분기보다 올랐다고 7일 밝혔다. 가격이 상승한 33개 품목의 평균 상승률은 9.9%였으며, 상승률 상위 5개 품목의 평균 상승률은 20.0%로 나타났다. 가장 많이 오른 품목은 밀가루로 상승률이 31.3%에 달했다. 식용유(23.9%), 참기름(15.5%), 콜라(15.2%), 쌈장(13.9%) 등의 순이었다. 하락한 품목은 달걀(-11.3%), 샴푸(-0.2%)뿐이었다.

밀가루(1㎏ 기준)는 1924원으로 지난해 2분기(1465원)에 비해 459원 뛰었다. 식용유(1.8ℓ)는 6461원에서 8007원으로, 참기름(320㎖)은 6858원에서 7919원으로 상승했다. 콜라(1.5ℓ)는 2561원에서 2951원으로, 쌈장(170g)은 1252원에서 1427원으로 올랐다.

자료: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
자료: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
물가감시센터가 조사한 개별 상품 78개 가운데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3개가 올랐고 오름폭도 상당했다. 대한제분 ‘곰표 밀가루 중력분(다목적용)’이 34.4%로 가장 크게 올랐다. 이어 씨제이(CJ)제일제당 ‘백설 밀가루 중력분(다목적용)’ 28.5%, 오뚜기 ‘콩 100%로 식용유’가 27.7%, 씨제이제일제당 ‘백설 콩 100%로 만든 콩기름’은 26.0% 올랐다. 밀·콩류를 원재료로 하는 제품 상승률이 상위 10개 제품 가운데 6개를 차지했다. 물가감시센터 관계자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수급 불안 문제, 인도네시아의 일시적인 팜유 수출제한 조처로 인한 대체유 가격 상승 때문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또 씨제이라이온 ‘비트 리필’(16.2%)·헨켈홈케어코리아 ‘퍼실파워젤(엑체·드럼용)’(15.8%) 등 세탁세제도 상위 10위에 포함된 것이 눈에 띄는데, 이 관계자는 “역시 계면활성제의 원료가 되는 팜유 등 주요 원재료의 가격 상승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자료: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
자료: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
지난 1분기 대비 2분기 가격 변동을 살펴보면, 35개 품목 가운데 33개 품목이 상승하고, 2개 품목이 하락했다. 상승한 품목의 평균 상승률은 4.3%였고, 상승률 상위 5개 품목은 밀가루(14.3%), 식용유(13.7%), 햄(12.0%), 달걀(8.9%), 아이스크림(7.2%) 순이었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 견줘 가격이 내렸던 달걀 가격이 1분기와 비교하면 오름세인 것이 눈에 띄는데 “국제 사료 가격 인상 탓”이라는 게 물가감시센터 쪽의 해석이다. 가격이 하락한 2개 품목은 과자(파이·-5.1%)와 우유(-0.3%)였다.

물가감시센터 관계자는 “정부가 밀가루 가격 안정을 위해 가격 상승분의 70%를 지원하고 나머지 30% 가운데 20%는 업계가, 10%는 소비자가 부담하는 방식의 사업을 올 3분기부터 내년 1분기까지 시행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며 “제분업계가 이에 발맞춰 3분기 밀가루 가격 동결을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3~4분기 제분업계의 가격 정책을 지속해서 모니터링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식용유의 원재료인 대두유와 대두 2021년 수입가격이 전년도에 견줘 평균 20% 넘게 상승한 것이 식용유·두부 등 관련 제품의 가격 인상으로 이어진 것으로 분석됐다”며 “정부에서 할당관세 0%로 수입 대두유에 대해 관세율을 낮춘 것이 소비자가에 적용되는지 지속적인 감시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매월 셋째 주 목~금요일 서울시 25개 구와 경기도 10개 행정구역의 420개 유통업체의 생필품과 공산품 가격조사로 물가 동향을 파악해 발표하고 있다.

유선희 기자 duc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금융시장의 ‘최후 보루’ 중앙은행…내란 이후 한은 총재의 결정 1.

금융시장의 ‘최후 보루’ 중앙은행…내란 이후 한은 총재의 결정

위기의 롯데그룹…내수·외국인 관광객에 명운 달렸다 2.

위기의 롯데그룹…내수·외국인 관광객에 명운 달렸다

이어지는 백종원 빽햄 구설…주가도 ‘빽’ 3.

이어지는 백종원 빽햄 구설…주가도 ‘빽’

또 사이트 터질라…‘힐스테이트 세종 리버파크’ 청약 일정 변경 4.

또 사이트 터질라…‘힐스테이트 세종 리버파크’ 청약 일정 변경

‘연 9%대 적금 효과’ 청년도약계좌 신청 급증…누적 가입 166만명 5.

‘연 9%대 적금 효과’ 청년도약계좌 신청 급증…누적 가입 166만명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