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쇼핑·소비자

살아나던 소매경기 다시 ‘주춤’…대형마트 하락폭 가장 커

등록 2021-10-05 05:59수정 2021-10-06 02:35

대한상의, ‘소매유통업 경기전망지수’ 조사
한 대형마트 신선식품 코너. <한겨레> 자료 사진
한 대형마트 신선식품 코너. <한겨레> 자료 사진

백화점, 대형마트를 비롯한 소매유통업의 경기 기대감이 다시 식고 있다. 코로나19 확산세 탓이다.

대한상공회의소는 ‘4분기 소매유통업 경기전망지수’가 기준점(100) 아래인 99로 집계됐다고 5일 밝혔다. 이 지수는 1분기 84에서 2분기엔 103, 3분기 106으로 기준점을 웃돌았다. 기준점 위는 지난 분기보다 경기를 긍정적으로 보는 기업이 많다는 뜻이다. 이번 조사는 백화점, 대형마트, 편의점, 슈퍼마켓, 온라인쇼핑 등 5개 업태 1천개사를 대상으로 8~9월에 걸쳐 실시됐다.

업태별로는 온라인쇼핑(110)만 유일하게 기준치를 넘었고, 백화점(98), 대형마트(85), 편의점(88), 슈퍼마켓(98)은 모두 기준치를 밑돌았다. 대한상의는 “코로나를 계기로 온라인·비대면 소비가 일상화되면서 ‘위드 코로나’ 시대로 정책이 전환되더라도 소비자들의 온라인 이용은 이어질 것”으로 분석했다.

대형마트(98→85)는 지난 분기 대비 13포인트 하락하며 업태 중 가장 낮은 전망치를 기록했다. 사회적 거리 두기 강화로 대형마트를 찾는 발길이 줄고, 신선식품·생활용품 수요를 둘러싸고 온라인 쪽과 벌이는 경쟁의 심화 탓으로 풀이된다. 월 2회 의무휴업과 영업시간 제한(0~10시) 규제, 일부 임대매장 외엔 재난지원금 사용처에서 제외된 점도 매출 상승 기대감에 부정적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됐다.

슈퍼마켓(96→98)은 업태 중 유일하게 상승했다. 코로나 재확산으로 붐비는 대형마트보다는 근거리·소량 구매를 하는 이들이 늘어날 것이란 기대감 때문이라고 대한상의는 풀이했다.

코로나 사태 장기회에 따른 대응책이나 준비 사항에 대해선 인건비·운영비 등 비용절감(38.5%)을 가장 많이 꼽았고, 이어 가격할인·판촉 등 프로모션(36.9%), 온라인 사업 강화(31.4%) 순이었다. 가장 큰 경영 애로사항으로는 소비심리 위축(50%)이 꼽혔고, 인건비·금융·물류 등 비용상승(16.5%), 업태 간·업태 내 경쟁 심화(14.3%), 정부 규제(11.6%) 차례였다.

김영배 선임기자 kimyb@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90년 묵은 ‘상호관세’ 꺼낸 트럼프…‘관세 98% 폐지’ 한국은 안심? 1.

90년 묵은 ‘상호관세’ 꺼낸 트럼프…‘관세 98% 폐지’ 한국은 안심?

2년 연속 대규모 ‘세수 결손’…지난해 30조8천억원 부족 2.

2년 연속 대규모 ‘세수 결손’…지난해 30조8천억원 부족

금융시장의 ‘최후 보루’ 중앙은행…내란 이후 한은 총재의 결정 3.

금융시장의 ‘최후 보루’ 중앙은행…내란 이후 한은 총재의 결정

“퇴근 뒤 농사지으러 갑니다”…도시에서 찾은 자급자족의 길 4.

“퇴근 뒤 농사지으러 갑니다”…도시에서 찾은 자급자족의 길

최상목, 트럼프 ‘철강·알루미늄에 25% 관세’ 대책 논의 5.

최상목, 트럼프 ‘철강·알루미늄에 25% 관세’ 대책 논의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