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쇼핑·소비자

한샘, 사모펀드 IMM PE에 팔린다…매각가 1조원대 거론

등록 2021-07-14 19:05수정 2021-07-15 02:48

실사 이후 본계약 예정

국내 1위 가구 인테리어 업체 한샘이 사모펀드(PEF) IMM 프라이빗에쿼티(PE)에 팔린다. 1970년 문을 연 한샘의 주인이 50년 만에 바뀌는 셈이다.

한샘은 창업주이자 최대주주인 조창걸 명예회장과 특수관계인 7명(법인 포함) 등 8명에 대한 지분을 IMM PE에 매각하기 위한 양해각서(MOU)를 14일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매각 대상 주식은 조 명예회장(15.45%)과 한샘드뷰연구재단(5.52%)를 비롯한 친인척 특수관계인 6명이 보유한 지분 약 25%다.

한샘 쪽은 조 명예회장이 경영권 매각에 나선 이유로 회사 지분과 경영권을 자녀에게 물려주지 않겠다는 신념이 반영된 것이라고 설명한다. 1939년생으로 고령인 조 명예회장은 슬하 1남3녀를 뒀지만, 지난 2012년 외아들이 숨졌고 세딸도 경영에 참여하지 않았다. 조 명예회장은 1994년 경영 일선에서 물러난 뒤, 전문경영인(CEO) 체제로 회사를 운영해왔다.

여기에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테리어 수요가 커지면서 한샘이 코로나19 수혜 기업이 된 영향도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지금 가장 높은 몸값에 회사를 팔 수 있다는 판단을 했다는 것이다. 지난해 말 기준 한샘 매출은 2조700원, 영업이익 930억원으로 1년전보다 각각 22%, 67%씩 증가했다. 한샘 주가도 지난해 3월말 4만6천원선에서 매각 소식 발표전 11만원선까지 덩달아 올랐다.

IMM PE은 양해각서 체결에 따라 독점적 협상권을 부여받고 한샘에 대한 실사를 진행할 계획이다. 하반기 중 본계약을 체결할 경우 한샘의 대주주는 ‘IMM PE’로 바뀌게 된다. 매각 대금으로 1조3천억~5천억원 수준이 거론된다. 한샘 주가는 14일 종가 기준 14만6500원으로, 경영권 프리미엄을 제외한 25%에 대한 지분가치는 약 8600억원이다. 한샘 쪽은 “실사 이후 최종 매각 계약 여부와 정확한 매각 대금 및 조건이 결정된다”고 말했다.

조 명예회장은 이번 지분 매각 일부를 공익사업에 쓴다는 뜻을 밝혔다. 그는 2015년 3월 ‘태재재단’(한샘드뷰연구재단)에 개인 보유 한샘 지분의 절반인 260만여주를 출연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현재까지 총 166만주를 출연했고, 이번에 지분 매각 후 나머지 금액을 추가 기부할 계획이다.

박수지 기자 suj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적자 수렁’에 갇힌 K배터리 1.

‘적자 수렁’에 갇힌 K배터리

8년 만에 출시하는 ‘닌텐도 스위치2’…게이머들 벌써 ‘두근’ 2.

8년 만에 출시하는 ‘닌텐도 스위치2’…게이머들 벌써 ‘두근’

‘삼성전자, 엔비디아에 HBM 납품’ 외신 또 오보 3.

‘삼성전자, 엔비디아에 HBM 납품’ 외신 또 오보

국내 항공사 항공기 416대 ‘역대 최다’…올해 54대 추가 도입 4.

국내 항공사 항공기 416대 ‘역대 최다’…올해 54대 추가 도입

사법 리스크보다 경영 리스크…2심 무죄 이재용과 삼성전자 5.

사법 리스크보다 경영 리스크…2심 무죄 이재용과 삼성전자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