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 없이 스마트폰만 있어도 운전
4명까지 공유…개인 설정도 가능
“차량공유 시대 유용하게 쓰일 것”
현대·기아차가 개발한 스마트폰 기반 디지털키 시연 모습. 현대자동차 제공
현대·기아자동차는 4일 차 열쇠 없이 문 잠금·해제에서 시동·주행까지 모든 기능을 작동할 수 있는 ‘스마트폰 기반의 디지털키’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 디지털키는 8세대 쏘나타부터 신차에 순차적으로 적용된다.
디지털키 기술은 스마트폰과 자동차 간의 근거리 무선통신(NFC)과 저전력 블루투스(BLE) 통신을 활용해 기존 스마트키와 같은 기능을 제공한다. 디지털키는 여러 사람과 공유할 수 있는 게 가장 큰 특징이다. 운전자를 포함해 최대 4명까지 공유할 수 있으며, 설정을 달리해 운전자만의 개인환경을 구축할 수도 있다. 공동 사용자는 차량 소유주의 인가에 따라 디지털키를 스마트폰 앱에 다운받아서 바로 사용할 수 있다. 차량 소유주가 디지털키를 공유할 때 사용 기간 또는 특정 기능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제한적 공유 기능도 갖췄다. 주차대행이나 정비소 등 디지털키를 공유하기 어렵거나 디지털키가 불편한 사용자를 위해 기존 카드키와 스마트키도 따로 제공된다.
디지털키를 사용하면 탑승 때 운전자가 누구인지 판단하고 미리 설정한 사이드미러와 운전석과 운전대 위치, 내비게이션 설정 등을 자동으로 맞춰준다. 디지털키를 다운받은 스마트폰을 운전석이나 동반석 외부 손잡이에 접촉하면 문을 잠그거나 열 수 있고, 차량 내 무선충전기에 스마트폰을 올려놓고 시동 버튼을 누르면 시동이 걸린다. 현대차 관계자는 “차량공유 시대에 차를 빌리는 사람과 대여업체가 직접 만날 필요 없이 스마트폰 앱을 통해 디지털키를 주고 받을 수 있어 유용하게 쓰일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홍대선 기자 hongds@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