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양재동 현대차 사옥. <한겨레> 자료 사진
현대자동차가 연구·개발(R&D)과 미래기술 분야 등에 앞으로 5년 간 45조3천억원을 투입한다.
현대차는 27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최고경영자(CEO) 인베스터 데이’를 열어 주주, 애널리스트(증권분석가), 신용평가사 담당자 등을 대상으로 중장기 경영 전략과 재무 전략을 공개했다.
현대차는 2022년까지 자동차 부문에서 영업이익률 7%, 자기자본이익률(ROE) 9%를 달성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현대차가 수익성 목표를 구체적으로 밝힌 것은 처음이다.
올해부터 2023년까지 집행할 투자 내용을 보면, 연구·개발과 경상 부문 등에 30조6천억원, 모빌리티·자율주행 등 미래기술에 14조7천억원을 투자한다. 이 기간 연평균 투자액은 9조원 규모다. 현대차의 과거 5개년 연평균 투자액이 5조7천억원인 것을 고려하면 58% 이상 늘어나는 것이다.
현대차는 연구·개발과 경상 부문에서 상품 경쟁력 확보에 20조3천억원, 시설장비와 설비 등에 10조3천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스포츠실용차(SUV)와 고급차 시장 대응력을 한 단계 높인다는 전략이다. 미래기술 부문에서는 스마트 모빌리티 분야에 6조4천억원, 차량 전동화 분야에 3조3천억원, 자율주행·커넥티비티 기술에 2조5천억원 등을 투입한다. 현대차는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14조~15조원 수준의 필수 유동성을 지속적으로 확보해 나가기로 했다.
이원희 현대차 사장은 “안정적 재무구조 유지를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중장기 전략을 바탕으로 경쟁력과 수익성을 조기에 회복해 주주가치를 높이겠다”고 말했다.
홍대선 기자
hongds@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