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 지문인증 출입 시스템. 현대차 제공
현대자동차는 지문을 이용해 차량의 문을 열고 시동을 걸 수 있는 ‘스마트 지문인증 출입·시동 시스템’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차량 문 손잡이에 달린 센서에 손을 대면 실내의 지문인증 제어기에 암호화된 지문 정보가 전달돼 차 문이 열리고, 지문 인식 센서가 달린 버튼을 누르면 시동이 걸리는 방식이다.
그동안 지문으로 시동을 거는 기술은 개발돼 있었지만, 문을 여닫는 기능은 보안과 내구성 문제로 적용이 쉽지 않았다. 실내와 달리 외부에 노출된 차량의 문에 지문 인식 시스템을 적용할 경우 햇빛과 눈보라, 고압 세차기의 강한 물줄기 등을 견디면서 차의 내구 연한과 함께 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번에 개발된 시스템은 인체가 전하를 축적할 수 있는 능력인 ‘정전 용량’을 인식하는 방식으로 구현해 보안 문제를 해결했다. 등록 지문이 아닌 다른 사람의 지문을 잘못 인식할 확률은 5만분의 1에 그친다고 한다. 이는 스마트키 등 일반 자동차 키보다 보안성이 5배 높은 수준이다. 이 시스템은 개인별 맞춤 운전 환경도 제공한다. 지문을 등록한 여러 운전자가 미리 설정한 정보에 따라 운전석 시트 위치와 사이드미러 각도 등을 차량 스스로 조정해준다.
현대차는 지문센서 부품업체와 협업을 통해 자동차업계 처음으로 자동차 반도체 품질 기준인 ‘AEC-Q100 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현대차는 앞으로 근거리 무선통신(NFC) 등 다양한 맞춤형 기술을 제품에 적용할 방침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이번에 개발한 시스템은 내년 1분기 중국에 출시할 신형 싼타페 ‘셩다’에 먼저 탑재한 뒤 세계 시장에 확대 적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홍대선 기자
hongds@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