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허 카젬 한국지엠(GM) 사장이 29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종합 국정감사에서 의원들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카허 카젬 한국지엠(GM) 사장이 생산 부문과 연구개발(R&D) 부문을 분리해 법인을 신설하는 과정에서 불거진 ‘철수설’을 부인했다.
카젬 사장은 29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국정감사 증인으로 출석해 “법인 분리는 한국지엠이 철수하기 위한 사전 작업이 아니냐”는 조배숙 민주평화당 의원의 질문에 “한국 철수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카젬 사장은 이와 함께 “지엠은 한국에 남을 것이라는 의지를 여러 차례 나타냈다. 한국지엠은 생산 시설들을 업그레이드하고 수출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회사 분할과 관련해 ‘직원들의 고용 승계를 약속하겠냐’는 조 의원의 질문에 “현재 연구개발 부문의 모든 직원은 승계가 될 것”이라고 답했다.
카젬 사장이 국회에 나와 회사 분할 문제에 대해 적극적으로 해명한 것은 회사 대표가 나서 ‘철수설’ 논란을 잠재워야 한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앞서 카젬 사장은 지난 10일에도 국회 산자위 국감의 참고인으로 채택됐으나 산업은행이 법원에 낸 주총 개최 금지 가처분신청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이유로 출석하지 않았다.
한편, 메리 배라 제너럴모터스(GM) 회장은 최근 한국지엠 노조에 서신을 보내 한국 방문을 바란다는 뜻을 전했다. 이날 노조가 공개한 서신에서 바라 회장은 “전담 엔지니어링 서비스 회사의 설립은 지엠의 장기적 결속을 더욱 강화시켜줄 것”이라며 “저희는 이 분할이 연구개발 회사와 생산 부문 모두가 수익성이 있으며 독자 생존한 사업부문으로 각각 자립할 수 있도록 해주는 중요한 단계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바라 회장은 이어 “머지않은 장래에 한국지엠을 방문하고자 한다”는 뜻을 나타냈다.
한국지엠 노조는 지난 23일 바라 회장에게 사쪽이 추진하는 연구개발 법인 분리의 부당성 등을 지적한 서신을 보내고 면담을 요청했다. 한국지엠 관계자는 “아직 구체적인 방한 계획은 전혀 논의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바라 회장이 방한할 경우 ‘한국 철수설’을 불식하기 위해 어떤 해법을 내놓을지 주목하고 있다.
홍대선 최하얀 기자
hongds@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