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자동차

‘딱정벌레차’ 비틀 역사속으로…폴크스바겐 “내년 7월 생산중단”

등록 2018-09-14 08:40수정 2018-09-14 09:59

폴크스바겐 ‘뉴 비틀’
폴크스바겐 ‘뉴 비틀’
'디젤 게이트' 폴크스바겐 직격탄…전기차·SUV 수요 고려한 듯
일명 ‘딱정벌레차’로 국내에도 잘 알려진 독일 폴크스바겐의 소형차 비틀(Beetle)이 내년 중으로 단종된다고 로이터·블룸버그통신이 1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폴크스바겐 미주본부는 “내년 7월 멕시코 푸에블라 공장에서 생산되는 모델이 마지막 비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비틀은 1930년대 나치의 아돌프 히틀러가 국민차 생산을 지시하면서 창립된 폴크스바겐의 대표작이다. 세계적으로 사랑을 받아오며 전후 독일 경제부흥의 견인차 노릇을 했지만, 줄곧배기가스 문제 등에 발목이 잡혔다.

유럽에서는 1978년 비틀 생산이 중단됐고, 1997년부터는 멕시코공장에서 딱정벌레 형 외관을 유지하면서도 내부를 새롭게 바꾼 ‘뉴비틀’로 변신해 미국 시장에서 인기를 끌었다. 특히 1968년 디즈니영화 ‘러브 버그’(The Love Bug)에 등장한 ‘허비’의 실제 모델이다. 블룸버그는 “디즈니영화가 개봉된 1968년엔 미국에서만 연간 42만3천대가 팔렸고, 1990년대까지도 인기를 유지했다”고 전했다. 폴크스바겐 미주본부도 성명에서 “수많은 애호가로서는 70여 년 역사를 자랑하는 비틀 모델의 단종에 감회가 남다를 것”이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2000년대 들어서면서 판매가 감소했고 최근엔 배기가스 조작 의혹인 이른바 ‘디젤 게이트’로 직격탄을 맞았다. 이번 조치는 비틀이 감성적인 향수를 자극하는 브랜드이기는 하지만, 새로운 시장의 수요에 부응하기는 어렵다는 지적을 고려한 결정으로 보인다.

AFP통신은 “SUV(스포츠유틸리티차량)를 비롯한 가족친화형 모델 또는 친환경 전기차 등으로 시장 수요가 이동하는 흐름을 고려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삼성전자, 엔비디아에 HBM 납품’ 외신 또 오보 1.

‘삼성전자, 엔비디아에 HBM 납품’ 외신 또 오보

슬금슬금 엔화 강세…20개월 만에 100엔당 950원 넘어 2.

슬금슬금 엔화 강세…20개월 만에 100엔당 950원 넘어

혹평에도 93개국 1위 한 ‘오겜 2’…K-미디어의 가능성은? 3.

혹평에도 93개국 1위 한 ‘오겜 2’…K-미디어의 가능성은?

마지막 ‘줍줍’…세종 무순위 아파트 3가구 120만명 몰렸다 4.

마지막 ‘줍줍’…세종 무순위 아파트 3가구 120만명 몰렸다

위기의 롯데그룹…내수·외국인 관광객에 명운 달렸다 5.

위기의 롯데그룹…내수·외국인 관광객에 명운 달렸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