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장품 소형화와 소프트웨어 역량 조합한
자율주행 차에 최적화된 신개념 조향장치
“양산 사례 없는 신기술…2020년 양산 목표”
신개념 조향장치를 장착한 자율주행 차의 주행 모습. 현대모비스 제공
현대모비스는 자율주행 차에 최적화된 새로운 개념의 조향장치 개발에 성공했다고 25일 밝혔다. 자율주행 중 예기치 않은 상황이 생기더라도 이중 제어시스템이 스스로 고장 여부를 판단해 핸들을 제어하고 정상적인 조향 상태를 유지해주는 신기술이다.
이 기술의 핵심은 돌발 상황에도 정상 조향이 가능하도록 장치에 들어가는 센서나 전자제어장치(ECU), 모터 등 핵심 전자 제품을 모두 이중으로 설계해 조향 안전성을 높인 데 있다고 모비스는 설명했다. 하나의 조향장치 안에 두 개의 독립된 전자 회로를 적용해 하나가 고장이 나더라도 나머지 회로가 정상 작동해 안정적인 주행 상태를 유지하는 방식이다.
이런 신기술을 구현하기 위해선 전장품의 소형화와 소프트웨어 개발 역량이 필수적이다. 현대모비스는 전동식 조향장치에서 사람의 두뇌 역할을 하는 전자제어장치를 기존 크기의 절반으로 줄이는 등 소형화에도 성공했다고 밝혔다.
현대모비스가 개발한 신개념 조향장치는 세계에서 아직 양산 사례가 없는 신기술이다. 현대모비스는 기술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실도로 테스트 등을 진행하고 있다. 올해 연말까지 고속도로나 도심, 주차 상황 등 일반적인 주행 환경에 대응한 검증 작업을 마친 뒤 2020년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홍대선 기자 hongds@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