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선적을 기다리는 자동차들. 한겨레 자료사진
수출 부진으로 고전 중인 완성차 업체들이 스포츠실용차(SUV) 등의 판매 비중이 늘어나면서 1대당 수출단가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실용차가 일반 승용차보다 가격이 비싸고 이익도 상대적으로 많은 것을 고려하면 완성차 업체들의 수익성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22일 한국자동차산업협회가 집계한 올 1분기 완성차 수출 현황을 보면, 현대차와 기아차, 한국지엠(GM), 르노삼성, 쌍용차 등 국내 5개 업체의 수출 대수는 57만3430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6% 줄었다. 업체별로는 르노삼성(12.9%)을 제외하고 현대차(-1.0%), 기아차(-19.3%), 한국지엠(-4.9%), 쌍용차(-32.4%)의 수출 물량이 모두 뒷걸음질쳤다. 국내 완성차 업체의 수출은 2012년 316만6천대로 정점을 찍은 뒤 지난해(252만8천대)까지 5년 연속 줄어들고 있다.
반면 올해 1분기 승용차 1대당 평균 수출단가는 1만5500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견줘 2.9% 늘었다. 이는 연간 누계 기준으로 역대 최대치다. 평균 수출단가는 2010년 1만2천달러를 기록한 뒤 꾸준히 상승해 지난해 처음으로 1만5천달러대에 진입했다. 업계에서는 1분기 흐름으로 볼 때 올해 수출단가가 또다시 연간 최대치를 경신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수출량 감소 속에서도 대당 단가가 상승한 것은 완성차 업체들이 스포츠실용차와 고급차 등의 수출 비중을 늘렸기 때문이다. 대당 수출단가가 가장 많이 오른 업체는 쌍용차였다. 대형 스포츠실용차인 신형 렉스턴을 앞세운 쌍용차는 올해 1분기 수출단가가 1만8200달러로 16.2% 상승했다. 스포츠실용차 선호 현상은 세계적인 추세라서 당분간 완성차 업체들의 수출 물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계속 커질 전망이다.
홍대선 기자
hongds@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