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에 본 현대자동차 사옥 모습. 한겨레 자료사진
현대자동차가 14년 만에 자사주를 소각한다.
현대차는 27일 공시를 통해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보통주 661만주와 우선주 193만주 등 총 854만주에 해당하는 이익소각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현대차가 자사주를 소각하는 것은 2004년 이후 14년 만이다.
현대차가 소각하게 될 자사주는 총 발행 주식 수의 3%에 이른다. 현재 보유중인 자사주 일부의 소각과 더불어 시장에서 자사주 매입 후 소각을 병행해 추진한다. 현대차는 보유 중인 자사주 중 보통주 441만주, 우선주 128만주 등 569만주를 소각할 예정이며, 또한 보통주 220만주, 우선주 65만주 등 총 285만주의 자사주를 추가로 매입 후 소각하게 된다.
현대차가 추진하는 자사주 소각 규모는 기존 보유 자사주 소각 5600억원, 추가 매입 후 소각 4천억원 등 총 9600억원어치에 이른다. 이는 향후 장부가액 변동이나 주가 추이에 따라 바뀔 수 있다. 기존 보유 자사주는 7월27일 소각 예정이며, 매입 후 소각할 자사주는 매입 완료 시점이다.
현대차의 자사주 소각 결정은 현대차그룹의 지배구조 개편안을 문제삼고 있는 미국계 헤지펀드 엘리엇 매니지먼트가 행동을 개시한 지 나흘 만에 이뤄졌다. 엘리엇은 지난 23일 ‘현대 가속화 제안’을 통해 “현대모비스와 현대차를 합병해 지주사로 전환하고, 배당지급률을 순이익 기준 40~50%로 개선하는 명확한 배당금 정책을 펴야 한다”면서 자사주 소각 등을 제안했다. 현대차 관계자는 “이번 자사주 소각 추진 결정은 그동안 일관되게 추진해 온 주주가치 제고 노력의 일환이다. 앞으로도 점진적 실적 개선을 기반으로 다각적인 주주환원 확대 방안 마련과 적정 주가 평가를 위한 노력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현대차는 2001년과 2004년 각각 1100만주, 132만주의 자사주를 소각한 바 있다. 자사주 소각은 회사의 이익을 활용해 주식 시장에서 자사 주식을 사들여 소각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전체 주식의 수가 줄기 때문에 남은 주식의 가치가 높아진다. 자사주 매입과 소각은 배당과 함께 대표적인 주주환원 정책으로 꼽힌다.
홍대선 기자
hongds@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