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리 앵글 지엠(GM) 총괄 부사장 겸 해외사업부문 사장(왼쪽 둘째)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위원장인 홍영표 의원이 23일 오후 인천 부평구 한국지엠 홍보관 회의실에서 악수하고 있다. 왼쪽부터 카허 카젬 한국지엠 사장, 배리 앵글 부사장, 홍영표 의원, 문승 다성 사장. 인천/김성광 기자 flysg2@hani.co.kr
한국지엠(GM) 노사가 23일 비용 절감 등을 뼈대로 한 올해 임단협 교섭안을 타결지었다. 한국지엠 노사는 이날 오후 인천 부평공장에서 열린 제14차 교섭에서 임단협안에 잠정합의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한국지엠은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 신청 위기에서 벗어나 회생 방안을 모색할 수 있게 됐다.
노사는 막판 교섭에서 핵심 쟁점인 희망퇴직 이후 군산공장에 남은 직원(680명)의 고용 보장과 신차 배정 문제, 복지비용 축소 등과 관련해 절충점을 찾았다. 노조는 25~26일 이번 잠정합의안을 조합원 찬반투표에 부칠 예정이다. 카허 카젬 한국지엠 사장은 “노사 잠정합의로 경쟁력 있는 기업으로 다시 태어날 기반을 마련했다. 경영 정상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주요 이해관계자와 계속 협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노사 교섭 타결은 지난 2월 모기업인 제너럴모터스(GM)가 한국지엠 군산공장 폐쇄를 뼈대로 한 사업 구조조정 계획을 발표한 지 두달여 만이다. 그동안 지엠은 노조와 정부 등 주요 이해관계자들에게 한국에서의 사업을 유지하고 경영을 정상화하기 위해서는 지원이 필요하며, 임의로 시한까지 정한 뒤 비용 절감에 대한 노사 합의가 이뤄지지 않으면 법정관리를 신청할 수밖에 없다고 압박해왔다.
정부는 앞서 제시한 구조조정 원칙 가운데 하나인 노사 고통분담이 결정된 만큼 지엠의 장기 경영 의지가 확인되면 재정 지원에 나설 계획이다. 노사 타결 직후 정부는 고형권 기획재정부 1차관 주재로 관계부처 회의를 열어 한국지엠 지원 방안 등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정부는 기존에 발표한 3대 구조조정 원칙 아래 최대한 신속하게 실사를 진행하고 지엠 쪽과 경영 정상화 방안을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 이날 저녁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 회의 등 미국 일정을 마치고 귀국한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노사 간 합의가 이뤄진 만큼 정부와 산은도 신속하게 협의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홍대선 방준호 기자
hongds@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