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그룹 서울 양재동 사옥. <한겨레> 자료 사진
미국에서 현대·기아차의 와이에프(YF)쏘나타와 케이3(K3)(미국 수출명 ‘포르테’) 차량에서 에어백 결함으로 4명의 사망자가 발생해 현지 교통당국이 원인 조사에 나선 가운데, 현대·기아차는 “미국에서 불거진 에어백 결함 문제가 국내 판매 차량과는 관련이 없다”고 19일 밝혔다.
앞서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은 지난 17일(현지시각) 현대·기아차의 에어백 결함과 관련해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조사 대상은 2011년형 현대차 YF쏘나타와 2012·2013년형 기아차 포르테로, 모두 42만5000대 규모로 추정된다.
이날 현대·기아차는 미국에서 제기된 에어백 결함 의혹에 대해 국내 차량에 쓰인 에어백 제조사와 제품은 다르다고 설명했다. 또 국내에서 이와 관련한 안전사고가 접수된 것도 없다고 덧붙였다. 현대차 관계자는 “문제가 된 YF쏘나타는 미 앨라배마 공장에서 독일 에어백 제조사(ZF-TRW) 제품을 장착해 미국 시장에 판매한 것이고, 국내 판매 차량은 현대모비스 제품을 탑재했다. 국내와 미국에서 생산·판매되는 차량의 에어백은 다르다”고 말했다.
기아차 국내 공장에서 생산되는 포르테는 한국에선 ‘K3’로 판매된다. 두 차량 모두 독일 업체의 에어백 제품을 장착했다. 이에 대해 기아차는 “미국 판매 모델은 어드밴스트 에어백 시스템을 적용했지만 국내 판매 모델은 디파워드 에어백 시스템을 채택해 제품은 물론 에어백 전개 방식도 다르다”고 해명했다.
어드밴스트 에어백은 안전띠 착용을 의무화하지 않은 미국의 일부 주 등을 고려한 북미지역 안전기준에 따른 제품으로, 안전띠를 하지 않았을 때도 에어백이 전개되도록 설계돼 있다. 반면 국내는 물론 유럽에서는 과도한 팽창으로 탑승자가 다치지 않도록 팽창 압력을 낮추는 디파워드 에어백이 탑재돼 판매됐다.
문제가 된 에어백 결함은 제어시스템의 전기회로에서 합선이 발생해 일어난 것으로 추정되지만 정확한 사고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현대차 관계자는 “에어백 자체의 결함인지, 조립 과정에서 불량이 발생했는지 미 교통당국에서 파악 중”이라고 말했다.
홍대선 기자
hongds@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