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엠(GM) 군산공장 폐쇄 발표 이후 처음 열린 노사 교섭이 별 성과없이 끝났다.
카허 카젬 사장과 임한택 금속노조 한국지엠지부장 등 노사 대표단은 28일 오전 10시부터 인천 부평공장에서 1시간30분가량 임·단협 교섭을 벌였다. 올해 들어 세번째 교섭이지만 군산공장 폐쇄 발표 이후 노사가 처음으로 협상 테이블에 앉은 것인데다 경영 정상화 방안을 둘러싼 양쪽 견해차가 워낙 컸던 터라 구체적인 합의안이 나올 것을 기대하기는 어려웠다.
사쪽은 경영 상황을 설명한 뒤 비용 절감과 신차 배정 등을 위한 노조의 결단을 요청한 반면, 노조는 군산공장 폐쇄 철회와 고용 보장 등을 요구해 접점을 찾지 못했다.
앞서 사쪽은 임원을 포함한 팀장급 이상 간부 500여명에게 임금 동결을 통보했다. 카젬 사장은 직원들에게 보낸 전자편지에서 전무급 이상 임원 35% 감축을 비롯해 모든 외국인 임원(ISP) 45% 감축, 승진 동결 등을 뼈대로 한 ‘리더십 구조 변화’ 계획도 공개했다. 이들은 비노조원이기 때문에 별도의 동의가 필요하지 않다. 카젬 사장은 “비용을 더욱 줄이고 성과 중심의 슬림하고 효율적인 조직을 만들어 갈 것”이라며 노조를 압박했다.
다음달 2일까지 희망퇴직을 받고 있는 사쪽은 성과급 지급 중단으로 1600억원, 복리후생비 절감으로 1500억원 등 연간 3천억여원의 비용을 절감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노조는 “양보할 것은 양보할 수 있다”는 입장이지만 군산공장 문제와 신차 배정 등에 대해 제너럴모터스(GM)와 사쪽이 먼저 대안을 제시할 것을 요구했다. 노조는 또 연구개발비와 이전가격 등을 둘러싼 의혹을 해명할 것을 요구했다. 노조는 “회사가 경영 실패를 전가하지 말고 신뢰할 만한 교섭안을 내놔야 한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협상과 별개로 상경 시위 등 집회 일정은 그대로 진행하기로 했다.
한편에선 군산공장 사내 비정규직 노동자 200여명이 해고 통보를 받는 등 대량 실직이 점차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정부는 군산공장 폐쇄와 조선업 구조조정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군산 지역을 지원하기 위한 태스크포스(TF)를 이날 구성했다.
홍대선 최하얀 허승 기자
hongds@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