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소하면 경영위기 현대차그룹으로 확산
투자·채용 위축, 감원도 배제 못해” 주장
전문가들 “통상임금 탓은 논리 비약
위기 원인 제대로 짚고 해법 찾아야”
투자·채용 위축, 감원도 배제 못해” 주장
전문가들 “통상임금 탓은 논리 비약
위기 원인 제대로 짚고 해법 찾아야”
기아자동차 노조가 제기한 ‘통상임금 소송’ 1심 선고를 앞두고 회사 쪽이 연일 여론전을 펼치고 있다. 기아차가 패소하면 경영위기에 빠지고, 이는 현대차그룹의 위기로 번져 산업계 전반에 막대한 악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논리다.
현대·기아차는 23일 ‘차산업 일자리 초비상, 기아차 통상임금 부담 겹쳐 지속성장 적신호’라는 제목의 참고자료를 내어 “통상임금 부담으로 한국 자동차산업의 지속성장에 빨간불이 켜졌다”고 주장했다. 올해 상반기 7870억원의 영업이익을 낸 기아차는 1심 재판에서 지면 충당금 적립으로 3분기부터 적자전환이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다. 또 “소송에서 지면 부품사와 산업계 전반으로 타격이 확산돼 한국 차산업은 물론, 전 산업계의 지속성장 동력이 꺾이고 말 것”이라고 주장했다.
‘감원 카드’도 꺼내들었다. 현대·기아차 쪽은 “통상임금 소송으로 인건비 등 고정비가 상승할 경우 투자와 채용을 줄일 수밖에 없으며 경영상황 악화 시 구조조정을 통한 인위적인 인력감축에 나서는 경우도 배제할 수 없다”고 밝혔다.
하지만 회사 주장과 달리 현대·기아차의 위기는 경쟁업체들에 한참 못 미치는 연구개발 투자와 제품 및 기술 경쟁력 저하, 이로 인한 실적 악화 등에서 비롯됐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해 현대·기아차의 연구개발 투자 규모는 34억달러로 폴크스바겐(151억달러)과 도요타(95억달러)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2.7%)도 폴크스바겐(6.3%)과 도요타(3.8%)에 비하면 절대적으로 적다.
전문가들은 우리나라 자동차 산업이 위기지만 통상임금에 초점을 맞춰버리면 그 원인은 물론 해법도 찾지 못할 것으로 꼬집는다. 이호근 대덕대 교수(자동차학)는 “소송 문제가 현대기아차한테 큰 부담이고 경영 악재인 것은 분명하지만 회사 전체의 경영위기를 노사관계나 임금 문제로 국한시켜선 안 된다. 노사 간에 서로 마음을 열고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홍대선 기자 hongds@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
◎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
◎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