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첫 강제리콜 처분을 받은 현대·기아자동차가 12일부터 순차적으로 리콜에 들어간다.
국토교통부는 지난달 청문절차를 거쳐 강제리콜 처분을 통보했던 현대·기아차의 차량제작 결함 5건에 대해 현대·기아차에서 지난 5일 시정계획서를 제출함에 따라 12일부터 순차적으로 리콜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리콜 대상은 12개 차종의 23만8321대다.
캐니스터(연료증발가스 대기방출 방지 목적으로 포집 후 연소시키는 장치)의 결함으로 농도가 짙은 연료증발가스가 엔진으로 유입돼 시동이 꺼질 가능성이 확인된 제네시스 BH와 에쿠스 VI 6만8246대는 이날일부터 현대차 서비스센터에서 무상으로 수리(캐니스터 교환, ECU 업그레이드 등)를 받을 수 있다. 허브너트(차축과 타이어를 연결해 주는 부품)의 결함으로 타이어가 이탈될 가능성이 확인된 모하비 1만9801대는 기아차 서비스센터에서 무상으로 수리(허브너트 교환)를 받을 수 있다.
16일부터는 주차브레이크 스위치의 결함으로 주차브레이크 작동등이 점등되지 않을 가능성이 확인된 쏘나타 LF, 쏘나타 LF HEV, 제네시스 DH 8만7255대가 현대차 서비스센터에서 무상으로 수리(주차브레이크 스위치 교환)를 받을 수 있다. R엔진의 연료호스 결함으로 연료가 누출될 경우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싼타페 CM, 투싼 LM, 쏘렌토 XM, 카니발 VQ, 스포티지 SL 2만5918대 역시 16일부터 현대·기아차 서비스센터에서 무상으로 수리(연료공급호스 교환)를 받을 수 있다.
30일부터는 브레이크 진공호스의 결함으로 제동력이 떨어질 가능성이 확인된 아반떼 MD, I30 GD 디젤엔진사양 3만7101대는 30일부터 현대차 서비스센터에서 무상으로 수리(브레이크 진공호스 교환 등)를 받을 수 있다.
국토부는 현대·기아차에서 제출한 리콜계획서의 리콜 방법 및 대상 차량의 적정성 등에 대해 검증을 시행해 적절하지 않은 경우 이에 대한 보완을 명령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홍대선 기자
hongds@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