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서울의 한 전기차 충전소에서 충전하는 모습.
전기차 충전 표준화를 논의하는 포럼이 열린 가운데, 정부는 현재 3가지인 급속충전 방식을 통일하는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과 제주도는 20일 ‘전기차 국제표준 포럼’을 제주 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었다. 포럼에는 프란스 프레이스베이크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사무총장과 미국 및 일본의 자동차공학회 연구자 등 국내외 전문가들이 참여해 현재 세계적으로 5가지가 존재하는 급속충전 방식의 표준화 문제를 논의했다.
이런 국제적 논의와 더불어 정부는 현재 3가지인 국내 급속충전 방식을 통일하는 작업을 진행중이다. 산업부 기계소재표준과는 “급속충전 방식을 DC 콤보로 통일하는 권고를 담은 한국산업표준(KS) 개정안을 다음달에 확정고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고시 개정안은 전기차 관련 회사들에 대한 ‘권고’이며, 그 자체로는 강제력이 없으나 정부 조달사업 및 지방자치단체의 전기차 보조금 집행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산업부는 보조금과 연계하는 방안을 환경부와 논의할 계획이다. 확정고시는 같은 달 관보에 게재되면 곧바로 효력이 발생한다. 정부는 전기차시장 육성을 위해 이 개정안을 지난해 말 예고고시했다.
전기차 급속충전 방식은 ‘DC 콤보’(BMW i3, 한국지엠(GM) 스파크), ‘AC 3상’(SM3), ‘DC차 데모’(기아차 레이·쏘울, 닛산 리프)로 나뉜다. 최근 한국 매장을 개장한 테슬라의 모델S 90D는 아예 체계가 다른 ‘타입 2’를 사용한다. 모델S는 ‘AC 3상’ 방식으로 충전은 가능한데 기술적 차이로 완속충전만 가능하다.
‘DC 콤보’로 통일하는 이유에 대해 산업부는 △충전 시간이 비교적 짧고 △차량 정보 통신에 유리하고 △미국 표준으로 채택돼 세계 표준이 될 가능성이 높은 점을 꼽았다.
고나무기자
dokko@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