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 외신에 ‘중장기 투자 계획’ 공개
정진행 사장 “신공장은 산업 수요 감안해 검토”
정진행 사장 “신공장은 산업 수요 감안해 검토”
정진행 현대자동차 사장이 앞으로 5년 동안 미국에서 현대차그룹이 31억달러(약 3조6천억원)를 투자하기로 했다고 17일 밝혔다. 투자 규모는 지난 5년간 투입된 21억달러보다 대폭 증액한 액수다.
정 사장은 이날 외신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이런 내용을 뼈대로 한 현대차그룹의 미국 내 중장기 투자 계획을 밝혔다. 정 사장은 “투자 금액은 친환경차와 자율주행 등 미래 신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R&D) 투자 확대와 기존 생산시설에서의 신차종 생산, 환경 개선을 위한 투자 등에 쓰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신규 공장 건설 여부에 대해선 “향후 미국 산업수요 추이 등을 감안해 검토할 계획”이라고 정 사장은 말했다. 이에 대해 그룹 관계자는 “신공장 건설에는 현지 시장 수요와 대내외 환경 등이 변수로 작용할 수 있어 생산 규모와 건설지역, 설립 주체 등 자세한 사항은 추후 면밀한 검토를 통해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차그룹의 미국 내 중장기 투자 계획 발표는 앞서 포드와 피아트크라이슬러가 각각 멕시코 공장 설립 계획을 취소하고 도요타가 미국 내 투자 계획을 밝힌 뒤 나온 것이어서 주목된다. 정 사장은 “투자 활동에 대한 부분은 정상적인 경영 활동의 일환으로 검토된 것”이라며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자 발언과 무관하다”고 선을 그었다. 그러나 현대차그룹의 투자 계획은 세계 주요 자동차 업체들이 트럼프의 압박에 잇따라 굴복해 공장 건설이나 투자 계획을 밝히고 있는 민감한 시기에 나온 것이어서 여러 해석을 낳고 있다.
그동안 트럼프 당선자는 포드, 제너럴모터스(GM)와 같은 자국 기업은 물론 도요타와 베엠베(BMW) 등을 직접 거론하며 멕시코 공장에서 생산하는 자동차를 미국에서 판매할 경우 고율의 관세(국경세)를 매기겠다고 위협했다. 이로 인해 포드는 16억달러를 들여 멕시코에 공장을 세우겠다던 기존의 계획을 접고 대신 미국 미시간 공장에 7억달러를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피아트크라이슬러도 미국 미시간과 오하이오 생산시설에 10억달러를 투자하겠다고 했고, 도요타는 향후 5년 간 100억달러를 미국에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트럼프의 압박에도 버텨온 미국 최대 자동차업체 지엠은 10억달러 규모의 미국 내 투자 계획을 곧 공개할 예정이다.
그동안 현대·기아차는 트럼프의 압력에 떠밀려 미국에 공장을 짓거나 투자하지는 않겠다는 태도를 보여왔다. 현대차는 2005년부터 앨라배마 공장을, 기아차는 2009년부터 조지아 공장을 각각 가동중이다. 현대차는 최근 미국에 제2공장을 검토하는 것 아니냐는 얘기가 나올 때마다 곤혹스러운 표정이었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현대·기아차는 트럼프 행정부로부터 어떤 메시지도 받은 게 없다. 적절한 시기에 미국 내 중장기 투자 계획을 밝힌 것일 뿐”이라고 말했다.
그룹 쪽 설명대로라면 주요 외신 기자들을 통해 트럼프 행정부에 스스로 투자 계획을 밝힌 것으로 풀이된다. 일부에선 트럼프 당선자 쪽에서 압력이 들어오기 전 백기를 든 게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홍대선 기자 hongds@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