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고밀도 2차전지 개발 프로젝트’ 발족
LG화학·현대차 등 민간 27개 기업·기관 참여
1회 충전시 400㎞ 주행 가능한 전지 개발 목표
LG화학·현대차 등 민간 27개 기업·기관 참여
1회 충전시 400㎞ 주행 가능한 전지 개발 목표
정부와 민간 기관이 손을 잡고 오는 2020년부터 한 번 충전으로 서울에서 부산까지 달리는 전기자동차를 개발한다. 지금까지 출시된 국산 전기차 가운데 주행거리가 가장 긴 차량은 현대차 ‘아이오닉 일렉트릭’으로 1회 충전하면 191㎞를 달릴 수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1일 서울 삼성동 그랜드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고밀도 2차전지 개발 프로젝트’ 발족식을 열고 업계와 연구기관이 대거 참여하는 ‘전기차-2차전지 융합 얼라이언스’를 구축했다고 밝혔다.
이 프로젝트는 2020년까지 전기차가 1회 충전만으로 400㎞를 달릴 수 있도록 고밀도 전지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내걸었다. 서울에서 부산까지 주행할 수 있는 거리다. 산업부가 270억원, 민간이 160억원을 투자해 전지 에너지 밀도를 지금보다 2배 이상 향상시킬 계획이다.
전지의 에너지 밀도는 1㎏의 전지에 담는 에너지량(Wh)을 말한다. 에너지 밀도가 높을수록 주행거리가 길어진다. 2차전지 시장은 정보기술(IT) 기기용 소형전지에서 전기차와 에너지저장장치(ESS)용 중대형용으로 성장하고 있다. 특히 전기차용 중대형 전지시장은 2020년까지 연평균 30% 이상 고속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한국전지연구조합에 사업단을 설치해 운영할 계획이다. 여기에는 엘지(LG)화학 등 전지기업을 비롯해 포스코켐텍 등 소재기업, 현대차와 대학·연구소 등 27개 기관이 참여한다.
전기차는 석유 연료를 사용하지 않고 배터리에 축적된 전기에너지로 자동차를 움직인다는 점에서 친환경차의 가장 현실적인 대안으로 떠오른 자동차다. 세계 각국의 배출가스 규제 강화와 전기차 보급 확대 정책, 완성차 업체들의 개발 경쟁 등을 고려할 때 전기차는 거스를 수 없는 대세가 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 전기차 시장과 관련 기술은 선진국에 비해 2~3년 뒤처진 것으로 평가받는다. 정부가 전기차의 핵심 기술인 고밀도 전지 개발과 함께 충전 인프라 확충에 나선 배경이다. 정부는 2018년까지 모든 고속도로에 전기차 충전소를 설치할 계획이다.
홍대선 기자 hongds@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