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환 국제 전기자동차 엑스포 조직위원장은 지난 19일 <한겨레>와 인터뷰에서 “이번 엑스포를 통해 전기차를 만들면 판매할 시장이 있다는 것이 확인됐다”고 말했다. 국제 전기자동차 엑스포 조직위원회 제공
김대환 전기차 제주엑스포위원장
전기차·제주 ‘흥행실패’ 조합에
주변선 ‘잘 되겠냐’ 반대했지만
소비자들 예상밖 ‘뜨거운 관심’
닛산·르노 등 전기차 한껏 고무
1년8개월간 매일 타보니 만족
활성화위해 보조금지원 대신
저탄소협력금제도 시행 필요
전기차·제주 ‘흥행실패’ 조합에
주변선 ‘잘 되겠냐’ 반대했지만
소비자들 예상밖 ‘뜨거운 관심’
닛산·르노 등 전기차 한껏 고무
1년8개월간 매일 타보니 만족
활성화위해 보조금지원 대신
저탄소협력금제도 시행 필요
지난 19일, 제주 중문단지에 위치한 제주국제컨벤션센터. 제1회 국제 전기자동차 엑스포가 한창인 이곳에는 평일 낮시간인데도 전기차를 구경·구매하러 온 제주도민·관광객 등 3000여명의 관람객으로 북적거렸다. 오전에 열린 ‘전기자동차 충전인프라 보급 및 시장확대를 위한 표준 적용방안’을 논하는 세미나에는 예상 인원보다 훨씬 많은 80여명의 업계 관계자가 몰려 넉넉히 찍어놓은 발표 자료가 모자라는 ‘사태’까지 벌어졌다. 이날까지 전기차 엑스포를 방문한 관람객 수는 4만3000명, 폐막일(21일)까지 조직위가 목표했던 5만명을 너끈히 채우고 남을 기세다.
“정말 고무적인 일입니다. 전기차 상용화 시대의 원년이 제주도에서 시작되고 있다는 증거가 아니겠습니까.” 전세계 모터쇼 전시장 한 구석에서 구색 맞추기로만 선보였던 전기차를 단독 주인공으로 내세워 전기차 엑스포를 추진한 김대환 조직위원장의 얼굴은 이날 한껏 상기돼 있었다. ‘서울이나 부산 같은 대도시도 아니고, 자동차 제조공장이 있는 곳도 아닌 곳에서 웬 모터쇼(엑스포)냐’며 모두가 “생뚱맞다”고 반대했던 엑스포가 성공리에 진행되고 있어서다. “고객들의 관심에 업계도 굉장히 고무돼 있어요. ‘만들면 팔 곳이 있겠구나’가능성을 보기 시작한 거죠. 그 뿐인가요. 이번 엑스포에서 차량 전시만 하겠다던 닛산이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전기차인 ‘리프’를 국내에 출시하겠다고 전격 발표했고, 르노도 ‘르노삼성의 부산공장을 전기차의 전진기지로 만들겠다’고 하는 등 일자리로도 연결될 수 있는 추가적 성과도 나왔고요. 이쯤되면 대통령 표창을 받아도 좋을 결과를 낸 게 아닐까요?” 김 위원장이 웃으며 말했다.
‘전기차에 미친 사람’이란 소리까지 듣고 있지만, 김 위원장은 사실 ‘자동차’에 대해선 문외한이었다. 전기·통신 관련 중소업체(대경엔지니어링)를 운영하고 있는 그는 제주도의 기업들이 ‘강소기업’으로 거듭날 수 있는 기회를 찾던 중 전기차에 관심을 갖게 됐다. “제주도를 ‘탄소제로 섬’으로 만들자는 구상 속에서, 전기차가 신재생 에너지는 물론 각종 차량 부품,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다른 산업을 키울 수 있는 징검다리가 될 수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된 거죠.”
주변의 회의적 시선과 달리 김 위원장은 이런 전기차의 성공 가능성을 믿고 있다. 김 위원장 스스로 1년8개월 동안 매일 전기차로 출퇴근하면서 느낀 만족감이 그 근거다. 또 하나, “제주도가 모범 답안 아닌가요. 충전시설을 구축하고 보조금을 지원하는 등 적극적으로 전기차를 육성하고 있다는 걸 보여주니까, 소비자들이 관심을 보이고 외국 메이저 업체들까지 차를 팔겠다고 모여들고 있잖아요.”
김 위원장은 제주를 넘어 다른 지역으로 전기차 사업이 성공하기 위해선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보조금 지원 위주의 전기차 정책이 달라져야 한다고 말했다. 지역별로 전기차 보급 목표 대수를 정해놓고 보조금을 지급하는 현행 방식이 ‘보조금 주는 만큼만 생산하겠다’는 식으로 생산량 증대 의지를 꺾는 덫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는 특히 정부가 ‘저탄소협력금제’를 통해 전기차 생산량을 늘릴 요인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생산량이 늘게 되면 (원가 절감 효과가 있어) 차값을 내릴 여지도 그만큼 커지니까요.”
그는 이 부분에서 할 말이 많다. 저탄소협력금제 시행을 놓고 환경부와 산업부 등 정부 부처들이 일관된 목소리를 내지 않고 있는데다, 국내 자동차 업계는 ‘수입차만 과실을 챙기고 국산차는 역차별을 받을 것’이란 논리로 제도 시행을 반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제도가 도입될지조차 불분명하니, 소비자도 (전기차 관련) 사업자들도 선뜻 움직이려고 하지 않아요. 박근혜 대통령이 (프랑스 르노의 테크노센터를 방문해) 전기차를 창조경제의 좋은 예로 꼽은 만큼, 전기차 정책을 세우고 일관되게 추진할 수 있는 중심축이 만들어졌으면 좋겠어요.”
김 위원장은 내연기관 차 판매에 안주하고 있다며 국내 자동차 업체에도 쓴 소리를 던졌다. “애국심에 호소하다가 세계적 추세에서 뒤떨어질 것이냐”는 것이다. 그는 베엠베(BMW)가 이번에 국내 전기차 시장에 진출하며 자사 전기차는 물론 한국 시장에서 판매되는 모든 전기차가 쓸 수 있는 충전시설 구축에 나선 것을 언급하며 이렇게 말했다. “시장을 주도할 기회는 스스로 만들어 가는 겁니다.”
제주/이정애 기자 hongbyul@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