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한국GM 협상 돌입
임금·정년연장 등 현안 산적
르노삼성은 총파업 초읽기
임금·정년연장 등 현안 산적
르노삼성은 총파업 초읽기
국내 완성차 업체들의 임금·단체협상이 이번주부터 본격화된다. 자동차 판매 부진 속 노사 양쪽의 견해차가 큰데다, 통상임금 문제 등 현안이 산적해 있어 ‘뜨거운 6월’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현대자동차 노사는 28일 오후, 울산공장에서 윤갑한 사장과 문용문 노조위원장(지부장) 등 양쪽 교섭대표 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임단협을 위한 상견례를 하고 본격적인 임금단체 협상에 들어갔다.
현대차 노조는 앞서 지난 10일 기본급 13만498원(정기호봉승급분 제외) 인상과 상여금 800% 지급, 순이익의 30% 성과급 지급, 정년 61살 연장 등 60~70개에 이르는 요구안을 회사 쪽에 전달한 바 있다. 권오일 금속노조 현대차지부 대외협력실장은 이날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주간연속 2교대제 도입에 따라 노동 강도는 높아지고, 노동 시간 감소로 생활임금 감소가 우려되는 만큼, 임금체계 개선과 성과급 등을 통한 분배정의 실현, 조합원의 건강권 쟁취 등에 초점을 맞출 것”이라고 밝혔다.
노조 쪽에서는 이번 주말께 울산 등 전체 공장에서 주말특근이 재개된 뒤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살펴, 주말특근 방식과 임금 적용 규모에 대해서도 사쪽과 재협의를 하겠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회사 쪽은 임금 인상과 정년 연장 문제 등 노조 쪽의 요구에 대해 “대기업 노조로서 사회적 책임을 외면한 채 무리한 요구만 하고 있다”는 입장이어서 협상에 난항이 예상된다.
실적 부진 속 고용불안 우려가 높은 외국계 업체들의 상황은 더욱 간단치 않아 보인다. 르노삼성자동차는 사실상 총파업 초읽기에 들어갔다. 지난 1월부터 해온 임단협이 결렬된 뒤, 노조는 지난 23일 조합원(2642명) 찬반투표를 거쳐 총파업을 하기로 결정했다. 94%가 압도적으로 찬성했다. 다행히 29일부터 다시 한번 노사 협상을 재개하기로 해 일단 총파업 위기는 피했지만, 노조 쪽에선 사쪽의 입장 변화가 없으면 파업을 강행할 수밖에 없다는 자세다.
르노삼성이 창립 이후 첫 총파업 위기로까지 치닫고 있는 건, 회사 쪽이 임금 동결과 공장 비가동일(연간 25일)에 연월차 사용, 종합검진 축소 등 복리후생 변경 등을 요구했기 때문이다. 회사 쪽에선 “이제 막 시작된 경영 정상화에 박차를 가해야 일자리도 지킬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노조 쪽에선 “임금이 동결된 상태에서 연월차 수당을 잃고 복지마저 축소되면 사실상 급여가 하락하는 것”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한국 철수설’에 시달렸던 한국지엠도 이번주부터 주간연속 2교대제 시행과 기본급 인상 등을 놓고 본격적인 임협에 들어간다. 현재 노사 양쪽이 말을 아끼고 있지만, 최근 댄 애커슨 제너럴모터스(GM) 회장의 발언으로 촉발된 ‘통상임금’ 논란이 국회 등을 통해 재점화할 경우, 임협 과정이 순탄치만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쌍용차 노조의 경우도 올해 임금협상만 하는데 별도 요구안으로 ‘주간연속 2교대제 검토’를 요구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회사 쪽에선 주야간 2교대제가 재개된 지 얼마 되지 않은데다 생산 물량이 충분치 않아, 주간연속 2교대제는 시기상조라는 견해다.
이정애 기자 hongbyul@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삼성 이재용 부회장 아들도 영훈국제중 성적 조작 입학 정황
■ 그들은 왜 돈 싸들고 ‘카피올라니’로 몰려갔나
■ “일베는 똥밭” 4만6174개 글 분석한 ‘일베 리포트’ 화제
■ 대구 여대생 납치 살해범은 택시기사? 제3의 인물?
■ [화보] 레바논전 앞둔 최강희호 훈련 구슬땀
■ 삼성 이재용 부회장 아들도 영훈국제중 성적 조작 입학 정황
■ 그들은 왜 돈 싸들고 ‘카피올라니’로 몰려갔나
■ “일베는 똥밭” 4만6174개 글 분석한 ‘일베 리포트’ 화제
■ 대구 여대생 납치 살해범은 택시기사? 제3의 인물?
■ [화보] 레바논전 앞둔 최강희호 훈련 구슬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