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버설 휠 드라이브 시스템이 적용된 차량(왼쪽)은 기존 전기차(오른쪽)의 좌우 바퀴 사이 구동 시스템 부품이 바퀴 안으로 들어가면서 새로운 공간이 생기는 변화를 끌어낼 것으로 기대된다. 현대차 제공
현대차·기아가 전기차의 실내 공간을 더 넓힐 수 있는 기술을 공개했다. 자동차의 좌우 바퀴 사이에 있던 구동 시스템을 바퀴 쪽으로 붙이거나, 바퀴 안으로 넣어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신기술이다.
28일 현대차·기아는 서울 중구 커뮤니티하우스 마실에서 ‘유니휠(UNI-WHEEL) 테크데이’를 개최했다. 이날 공개한 신기술 ‘유니버설 휠 드라이브 시스템(유니휠)’은 전기차의 감속기와 드라이브 샤프트, 등속(CV) 조인트 등 구동계 부품을 바퀴(휠) 내부로 옮겨 실내 공간을 획기적으로 늘린 신개념 구동 시스템이다.
이 기술을 상용화하면 기존 구동 시스템이 차지하던 앞뒤 양 바퀴 사이 공간 두 곳을 추가로 활용할 수 있다. 배터리를 추가로 탑재해 주행거리를 향상할 수도 있고, 기존 좌석 배치를 혁신적으로 바꾸는 디자인도 가능해진다. 자동차업체들은 전기차가 자율주행차 개발과 함께 차 안에서 머무르는 시간 활용이 중요한 공간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는데, 이를 위한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셈이다. 김기석 현대차·기아 선행기술원 책임연구원은 “기존에 없었던 새로운 개념의 차들을 개발할 수 있다”고 말했다.
앞서 현대모비스는 지난 3월 차량 각 바퀴에 모터를 넣어, 모터가 바퀴를 직접 제어하는 4륜 독립 구동 ‘인휠’ 시스템 개발에 성공했지만, 현대차 관계자는 “인휠 시스템과 유니휠의 다른 점은 모터가 바퀴 밖에 있는 점”이라며 “소형 모터가 외부에 있을 경우 승차감이 더 좋다는 점을 장점으로 꼽는다. 서로 다른 기술”이라고 설명했다.
유니버설 휠 드라이브 시스템의 유성 기어. 현대차 제공
바퀴 안에 모터 외 다른 구동 체계들을 넣어도 동력 전달에 문제없도록 ‘유성 기어’를 개발한 것도 특징이다. 현대차·기아는 노면 상태에 따라 불규칙하게 바퀴가 움직여도, 상하로 축이 움직이면서 동력을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는 점을 장점으로 꼽았다. 다만 모터의 개수가 1개에서 2개(소형 모터)로 느는 등 가격이 비싸다는 과제를 해결해야 상용화 시점이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박종술 현대차·기아 선행기술원 수석연구위원은 “유니버설 휠 드라이브 시스템은 크기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차량뿐 아니라 자전거, 휠체어, 로봇, 목적기반차량(PBV) 등 다양한 모빌리티에 적용이 가능할 것”이라며 “기술 완성도를 높여가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설명했다.
최우리 기자
ecowoor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