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자동차

전기차로 와인셀러 작동해봤나요?…GV70, 운전·차박 다 잡는다

등록 2022-03-18 08:29수정 2022-03-18 09:16

제네시스 GV70 전동화 모델 타보니
차 배터리로 빔프로젝터·와인셀러까지
운전하면서 회생제동 조절…‘운전 재미’↑
시속 50㎞서도 방지턱 부드럽게 넘어가
배터리 용량은 실 주행거리보다 더 사용
고속주행 때 들리는 바람소리는 아쉬워
17일 현대자동차 시승 행사장에 설치된 GV70 차량과 캠핑용품들 모습. GV70은 차량 배터리 전원을 외부로 빼내 쓸 수 있는 ‘비히클 투 로드’(V2L, Vehicle to Load) 기능을 적용했다. 차량 트렁크 오른쪽에 마련된 콘센트에 전자기기를 연결할 수 있다. 안태호 기자 <a href="mailto:eco@hani.co.kr">eco@hani.co.kr</a>
17일 현대자동차 시승 행사장에 설치된 GV70 차량과 캠핑용품들 모습. GV70은 차량 배터리 전원을 외부로 빼내 쓸 수 있는 ‘비히클 투 로드’(V2L, Vehicle to Load) 기능을 적용했다. 차량 트렁크 오른쪽에 마련된 콘센트에 전자기기를 연결할 수 있다. 안태호 기자 eco@hani.co.kr

“현재 작동되는 스피커, 와인셀러, 태블릿 등 전자제품들은 GV70에 연결된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있습니다. 이 차량만으로 이들 가전제품을 총 60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지난 17일 경기도 가평 인근에 마련된 행사장. GV70 두 대가 각종 캠핑용품과 함께 자리잡고 있다. 전기차 배터리 전원에 연결된 스피커에선 음악이 흘러나왔고, 휴대용 빔 프로젝터는 영상을 끊김없이 재생했다. 와인셀러는 와인을 최적의 온도로 유지시켜주고 있었다.

GV70은 차량 배터리 전원을 외부로 빼내 쓸 수 있는 ‘비히클 투 로드’(V2L, Vehicle to Load) 기능이 기본 적용됐다. 차량 배터리 전원을 연결하는 방법은 두 가지다. 차량 전면부 그릴과 후면 트렁크에 마련된 콘센트에 전원을 연결하면 된다. 현장 관계자는 “비히클 투 로드는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는 것보다 높은 최대 3.6㎾의 소비전력을 제공한다. 여러 제품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간혹 내연기관 차량에도 콘센트가 있는 경우가 있는데, 보통 스피커나 빔 프로젝터 하나 정도만 사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17일 직접 시승한 GV70. 차량 색상은 바로사 버건디(유광)다. 안태호 기자&nbsp;
17일 직접 시승한 GV70. 차량 색상은 바로사 버건디(유광)다. 안태호 기자 

이날 차량 시승은 경기 하남시 스타필드에서 출발해 가평 인근 카페를 찍고 돌아오는 코스였다. GV70에는 77.4㎾h 리튬이온 배터리가 탑재됐다. 1회 충전으로 최대 400㎞ 주행이 가능하다. 이날 출발 전과 도착 후 표시된 주행가능 거리를 비교해보니 131㎞ 차이가 났다. 실제 주행거리 117㎞에 해당하는 양보다 더 많은 배터리양을 소모한 것이다. 주행 중 절반 정도에서 스티어링휠 열선을 켜고 운전했다. 이날 시승행사가 진행된 오전 기온은 약 6∼8도였다. 전기차는 배터리의 특성상 기온이 낮을 때 주행거리가 줄어든다. 이날 시승차에는 전기차 부품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난방에 활용해 저온 주행거리를 늘려주는 히트펌프가 장착돼 있었다.

GV70 전동화모델의 앞자리 쪽 내부 모습. 안태호 기자&nbsp;
GV70 전동화모델의 앞자리 쪽 내부 모습. 안태호 기자 

GV70 전동화 모델은 운전 중 회생제동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스티어링휠 뒤쪽에 부착된 패들 시프트를 당기면 회생제동 강도를 변경할 수 있다. 내연기관 모델의 수동 변속 패들 시프트와 같은 위치에 동일한 모양으로 장착돼있다. 회생제동은 전기차가 감속할 때 발생하는 제동력을 전기에너지로 바꿔주는 장치다. 회생제동이 강할수록 액셀에서 발을 떼는 순간 빠르게 속도가 줄면서 배터리를 충전한다.

GV70은 회생제동 강도를 0단계부터 최대 단계까지 총 4단계로 나눈다. 왼쪽(+)·오른쪽(-) 패들 시프트를 한번씩 당길 때마다 강도를 한단계씩 바꿀 수 있다. 회생제동이 0단계일 땐 주행 중 엑셀에서 발을 떼도 부드럽게 나아간다. 강도를 최대로 올린 뒤 엑셀에서 발을 살짝만 떼봤다. 묵직한 제동감이 느껴졌다. 주행 중 왼쪽(+) 패들을 당겨주면 엔진브레이크로 감속하듯이 브레이크 패달을 밟지 않아도 속도가 줄어든다. 패들 시프트 조작만으로도 운전하는 재미를 느낄 수 있었다.

GV70 전동화모델의 전면·후면 ‘브이 투 로드’ 콘센트(위)와 뒷좌석(아래)의 모습. 안태호 기자&nbsp;
GV70 전동화모델의 전면·후면 ‘브이 투 로드’ 콘센트(위)와 뒷좌석(아래)의 모습. 안태호 기자 

주행은 매끄러웠다. 전기차답게 엑셀 패달을 밟는 순간 차체가 바로 튀어나갔다. 고속으로 주행해도 안정감이 느껴졌다. 승차감도 부드러웠다. 2.2톤(t)이 넘는 중량임에도 시속 40∼50㎞로 방지턱을 넘어가도 덜컹거리지 않고 부드럽게 넘어간다. 차체가 방지턱을 잡아당기면서 넘어간다는 느낌마저 들 정도였다.

다만, 고속 주행 때 차량 실내에서 풍절음이 잘 들리는 것은 아쉬운 점이었다. 이번 전동화 모델은 내연기관 모델과 내·외관이 거의 유사하다. 내연기관 모델을 사용해본 운전자라면 무리 없이 적응할 수 있다. 뒷자리도 만족할만 했다. 레그룸과 헤드룸이 넉넉했다. 뒷자리에서도 공조장치를 조작할 수 있고, 유에스비(USB) 충전포트도 마련됐다. 뒷좌석 팔걸이(암레스트)를 내리면 컵홀더 두 개를 사용할 수 있다. 전기차답게 뒷자리 가운데 바닥이 평평해 중간자리에 앉는 사람도 편안하게 승차할 수 있다.

이날 시승한 차량의 색상은 바로사 버건디(유광)였다. 20인치 휠을 포함한 풀옵션이 적용된 차량으로 개별소비세 3.5% 기준 8741만원이다. 보조금은 332만원으로, 지자체 보조금 94만원(서울 기준)을 추가하면 실 구매가는 8315만원이다. 무광 옵션을 선택하면 70만원을 더 내야 한다. GV70 전동화 모델은 지난 2월24일부터 사전예약을 받고 있다.

가평/안태호 기자 ec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삼성 반도체 1분기 ‘적자전환’ 전망…연간 영업익 ‘반토막’ 가능성 1.

삼성 반도체 1분기 ‘적자전환’ 전망…연간 영업익 ‘반토막’ 가능성

마지막 ‘줍줍’…세종 무순위 아파트 3가구 120만명 몰렸다 2.

마지막 ‘줍줍’…세종 무순위 아파트 3가구 120만명 몰렸다

슬금슬금 엔화 강세…20개월 만에 100엔당 950원 넘어 3.

슬금슬금 엔화 강세…20개월 만에 100엔당 950원 넘어

‘적자 수렁’에 갇힌 K배터리 4.

‘적자 수렁’에 갇힌 K배터리

다음달 청주 서원구에 ‘미니새도시’급 아파트 4천가구 5.

다음달 청주 서원구에 ‘미니새도시’급 아파트 4천가구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