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가 튼튼한 소재는 기본, 여기에 안전과 친환경이라는 핵심 가치를 더해 건설산업의 선진화에 힘을 보태고 있다.
최근 건설업계에서는 건축물의 자체의 안전 가치를 높이는 것 뿐 아니라, 친환경 건설 자재 확대 및 건설 과정에서 작업자의 안전한 작업환경을 최우선으로 하는 ESG경영이 확산되고 있으며, 이에 더해 생산성까지 확보하는 것이 화두이다. 포스코는 우수한 강재와 이를 활용할 수 있는 공법 및 솔루션, 고객사와 함께하는 프리미엄 강건재* 통합브랜드 이노빌트(INNOVILT) 생태계 구축을 통해 건축용 강재 시장을 선도하고, 나아가 건설산업의 ESG 경영에 기여하고 있다.
*강건재 : 각종 건축물과 건설기계 제작 등에 사용되는 강철로 된 건설자재
● 고품질 내진용 강재와 접합솔루션으로 건축물의 안전가치에 기여
먼저, 포스코는 내진용 강재와 솔루션을 통해 건축물의 안전에 기여하고 있다. 지난 2월, 튀르키예·시리아 지진이 지구를 흔들며, 10만채가 넘는 건물을 파괴하고 수만 명의 생명을 앗아갔다. 포스코는 국내 주요 철강사들 중 가장 먼저 상용화를 마치고 우수한 품질의 내진강을 만들고 있다. SN(Steel New Structure)강, TMCP강, HAS강, 내지진 강관 등의 내진용 강재가 국내외 유명 건축물에 사용되고 있다. 특히 포스코 내진강의 대명사인 SN강은 신도림 테크노마트, 고양 체육관 등 일반건축물에서부터 대형 공공시설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우수한 성능을 인증받아 해외에도 진출했다. 삼성물산이 시공중인 대만 타오위안 국제공항 제3터미널 신축 공사에 소요되는 건설용 후판 7만 톤을 포스코가 전량 수주했는데, SN재가 90% 이상을 차지하는 성과가 있었다.
포스코는 고품질의 내진용 강재 개발 뿐만 아니라, 건축물이 제대로 된 내진성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내진 안전성을 완성하는 접합 솔루션을 연구 하고, 적용 확대하고 있다. 포스코는 최근 Pos-H*를 이용한 세계 최고 보 높이 1,500mm의 보·기둥 접합부에 대해 내진성능 최고등급인 ‘특수모멘트 접합부’** 인증 및 특허를 취득했다. 또한 특수모멘트 개발 및 설계, 제작기술을 제공하고 있는데, 이에 따라, 원가절감 및 구조물의 내진안정성을 위하여 발주처나 건설사에서 내진접합부를 적용하는 사례가 증가하는 추세로, 포스코는 국내 건축업계의 내진 수준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Pos-H: 포스코의 내진강을 절단 후 고객이 필요한 최적의 사이즈로 용접할 수 있는 맞춤형 용접 형강
** 특수모멘트 접합부 : 내진 접합부에 대한 인증 중 최고등급. 내진접합부는 보통·중간·특수 모멘트 접합부로 구분되며, 중간·특수 모멘트로 갈수록 내진 성능이 높아짐.
● 고강도·경량화 강재로 건설현장의 안전한 작업환경에 기여 또한 포스코는 고강도·경량화 강재를 통해 건설현장의 안전에 기여하고 있다. 건설현장에 각종 자재들을 가져와 작업자의 손으로 가공하고 제작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 일반적이다. 무거운 자재를 운반한 이동하며 작업자의 부상의 우려가 높았던 것이 현실인데, 작업현장의 재해율 저감과 건강을 위해 건설 자재의 경량화가 필수적이다. 포스코는 이노빌트 얼라이언스社*와 공동으로 개발한 ‘중공철근’과 ‘초경량 시스템비계’을 통해 건설현장의 안전에도 기여하고 있다.
*이노빌트 얼라이언스(INNOVILT Alliance) : 포스코의 고기능 강재로 친환경 프리미엄 강건재를 만드는 기업
중공(中空)철근은 포스코에서 생산하는 고강도 강판을 강관 형태로 만든 제품으로, 동등한 성능의 이형철근 대비 무게가 약 50% 가볍다. 최근 구조물의 대형화 추세와 함께 지하공간의 활용도가 높아져 지하 굴착의 규모가 커지고 있는데, 이에 따라 활용되는 철근의 직경도 점점 커지고 있다. 그 만큼 안전하게 자재를 다루는 것과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 예방이 숙제였다. 중공철근은 기존 철근의 절반의 무게로 작업이 가능한 만큼, 건설현장 내 운반과 인양이 용이 해졌고, 작업현장에서의 시공성과 안전성이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건설현장에서의 추락사고의 예방을 위해 공사현장에 설치되는 비계의 안전성 확보가 필수적이다.
포스코는 초경량 시스템비계의 제작을 지원한다. 시스템비계란 발판과 통로, 안전 난간을 공장에서 사전 제작해 일괄적으로 설치하는 형태의 비계로, 조립형 구조로 생산돼 단단하게 설치되어 있어 안전성이 높다. 시스템비계의 개발에도 ‘경량화’가 중요한 요소였는데, 기존 비계의 경우 무거운 중량 탓에 현장 작업자의 신체에 미치는 부담이 커, 가벼우면서도 작업자의 하중을 버틸 수 있는 튼튼한 강관이 필요했다. 포스코와 얼라이언스社는 포스코의 고강도강으로 제작해 기존 제품보다 무게는 약 25% 가벼우면서 인장강도는 40% 높은 강관을 활용해 경량화된 시스템 비계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 미래 건설산업의 핵심 솔루션 ‘OSC’공법 지원으로 안전과 친환경, 생산성까지 모두 잡아 최근 건설산업에서는 사전제작을 통해 현장작업을 최소화하는 탈현장화(OSC: Off-Site Construction)가 미래건설의 핵심 솔루션으로 부각되고 있다. 국내 건설산업의 고질적인 문제인 안전 사고, 인력난, 공사지연, 유해물질 배출 등의 이슈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OSC가 부상하는 것이다. OSC는 주요 구조물과 설비, 마감재 등이 건설현장이 아닌 공장에서 미리 작업해 현장에서는 조립·설치하는 공법으로, 현장 가공작업이 최소화 돼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구조물의 사전 제작으로 품질 확보가 가능하며, 또한, 미리 자재를 규격화해 필요한 만큼 생산하기 때문에 생산효율성은 올라가는 한편 탄소배출 및 건설폐기물을 줄일 수 있어 친환경적이다. 포스코도 이러한 건설산업의 OSC 트렌드를 지원하고 있다.
포스코가 최근 판매를 시작한 코일철근은 코일 형태로 둥글게 만 철근으로, 코일을 풀어 원하는 길이만큼 연속으로 절단할 수 있어 생산성 향상과 재료 손실이 최소화 되는 장점이 있다. 코일철근은 공장에서 사전제작되는 철근가공품에 사용되고 있어 건설현장의 인력난 경감과, 안전사고 감소에도 기여하고 있다. 포스코그룹이 선도적으로 기술을 개발하고 보급하고 있는 스틸모듈러는 철골구조체에 벽체, 창고, 정기배선, 배관, 욕실, 주방기구 등 자재와 부품의 70~80%를 공장에서 미리 제작해 현장에서 조립·설치하는 건축공법으로, 골조의 내구성 및 차음, 방수, 기밀 등 주거성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재사용 및 재활용이 가장 우수한 건축솔루션이다. 기존 콘크리트 공법보다 건설단계에서 탄소·폐기물 배출을 줄일 수 있고 생산성과 인력난, 안전·품질 등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주택 건설 방식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외에도 포스코는 이동형 학교 모듈러, 아파트 옥탑 모듈러, 프리패브(Prefabrication, 사전제작) 문주 등 현장 작업을 최소화시키며 안전사고를 줄이고 생산 안정성은 높이는 제품을 이노빌트 제품으로 인증하고 건설업계에서 모듈러 활성화를 지원하고 있다.
한편, 포스코는 주요 건설사와 기술교류부터 R&D 협력, 시범사업, 프로젝트 공동수주 추진 등 쌍방향 협업 체계를 구축·강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국내 건축·인프라 사업, 해외 프로젝트도, 수주입찰 단계부터 긴밀한 협업체제를 가동하고 있다. 또한, 친환경, 스마트화, 탈현장화 등 건설시장 변화 대응과 미래 건설 신사업 창출을 위한 동반 활동을 강화하고 있다. 포스코는 앞으로도 철강기반의 강건재 및 솔루션들을 통해 안전, 공기단축, 인력난 등 건설업계의 현안해결은 물론, 미래 비전과 전략의 실현에도 기여해, 건설산업의 든든한 동반자로서 거듭날 계획이다.
<이 기사는 포스코에서 제공한 정보기사로 한겨레의 의견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특수모멘트 접합부 : 내진 접합부에 대한 인증 중 최고등급. 내진접합부는 보통·중간·특수 모멘트 접합부로 구분되며, 중간·특수 모멘트로 갈수록 내진 성능이 높아짐.
▲ 대만 타오위안 공항 제3터미널 조감도
▲ 포스코 철강솔루션연구소 강구조 실험동에서 실시된 보높이 1500mm 보기둥 접합부 내진실험 장면
▲ (좌) 일반철근 (우) 중공철근
▲ 현대 김포아울렛 공사 현장에 설치된 ES700 초경량 시스템비계 모습
▲포스코의 이노빌트 얼라이언스社 의조산업 자재센터에 쌓여 있는 초경량 고강도 시스템비계 ES700
▲ 포스코A&C가 준공한 스틸모듈러, ‘광양 기가타운(포스코 직원 생활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