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음악·공연·전시

‘금서’ 사연 들어보실래요 ‘보안법 폐지를 위한 전시회’

등록 2006-09-13 19:22수정 2006-09-13 23:36

13일 서울 종로구 견지동 평화박물관 건립추진위원회 사무실에서 열린 ‘국가보안법 폐지를 위한 인권평화 전시회’에 국가보안법에 의해 이적표현물 등으로 묶였던 책들이 전시되고 있다. 김태형 기자 xogud555@hani.co.kr
13일 서울 종로구 견지동 평화박물관 건립추진위원회 사무실에서 열린 ‘국가보안법 폐지를 위한 인권평화 전시회’에 국가보안법에 의해 이적표현물 등으로 묶였던 책들이 전시되고 있다. 김태형 기자 xogud555@hani.co.kr
1981년 무협소설 <무림파천황>은 출간되자마자 금서가 됐다. 공안당국은 정파와 사파의 대립 구도를 변증법적으로 설명한 부분이 국가보안법에 저촉된다고 판단했다.

국가보안법이 얼마나 인간의 이성을 옥죄고 사상의 자유를 제약하는지를 보여주는 ‘국가보안법 폐지를 위한 인권·평화 전시회’(부제: 감옥에 간 금서들의 이야기)가 13일 서울시 종로구 견지동 ‘평화박물관 건립추진위원회’ 사무실에서 열려 눈길을 끌고 있다.

1974년엔 김일성 전 주석이 전설적 명장인 김일성 장군의 업적을 가로챈 ‘가짜’라고 주장한 <김일성 열전>조차도 금서에 올랐다. 이렇게 ‘황당한 금서들’ 쪽을 보면 배꼽이 빠질 지경이다. 금서로 낙인찍히고도 한 시대의 베스트셀러가 된 조세희씨의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이나 고 조영래 변호사의 <어느 청년 노동자의 삶과 죽음-전태일 평전>과 같은 책들에 대한 설명에선 당시 정권이 이 책들을 얼마나 두려워했는지를 읽을 수 있다.

한국의 금서뿐 아니라, <톰 아저씨의 오두막>, <군주론>, <종의 기원> 등 서유럽에서 당대에 읽을 수 없었거나, 읽기 어려웠던 책들도 살펴봄으로써 권력이 당대 사상의 자유를 억압하는 것은 인류 사회의 공통 경험이라는 점도 알 수 있다. 사상의 자유가 소중함을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쉽게 깨달을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듯하다. 입장료는 없다. (02)735-5811∼2. 전종휘 기자 symbi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구준엽 아내 서희원 숨져…향년 48 1.

구준엽 아내 서희원 숨져…향년 48

“우리 노동자의 긍지와 눈물을 모아”…‘저 평등의 땅에’ 작곡 류형수씨 별세 2.

“우리 노동자의 긍지와 눈물을 모아”…‘저 평등의 땅에’ 작곡 류형수씨 별세

웹툰 플랫폼 ‘피너툰’ 서비스 일방 종료…작가들 “피해 보상” 3.

웹툰 플랫폼 ‘피너툰’ 서비스 일방 종료…작가들 “피해 보상”

조성진 ‘가장 바쁜 피아니스트’ 5위…서울은 가장 뜨거운 음악도시 4.

조성진 ‘가장 바쁜 피아니스트’ 5위…서울은 가장 뜨거운 음악도시

경복궁 주변 파봤더니 고려시대 유물이 줄줄이? 5.

경복궁 주변 파봤더니 고려시대 유물이 줄줄이?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