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음악·공연·전시

세월 속으로 빨려들어간 옛 변두리 골목길을 그렸다

등록 2022-02-05 16:45수정 2022-02-06 11:44

5인 전 ‘기억’에 나온 하미화 작가의 근작들
하미화 작가의 근작. 옛 변두리 동네 골목길의 기억 속 정경을 그렸다.
하미화 작가의 근작. 옛 변두리 동네 골목길의 기억 속 정경을 그렸다.
빨려들어간다. 파란 하늘 너머, 환한 빛덩어리 속으로. 오래된 변두리 동네의 낡은 집 담벼락 골목길이 세월 속으로 사라지는 한순간. 담장 위 무성한 나뭇가지와 나뭇잎들이 도열하듯 길이 사멸해가는 풍경 주위를 수놓고 있다.

부산에서 작업해온 소장 화가 하미화씨의 근작들은 환각적이다. 세월에 밀려가는 부산 변두리 동네의 기억을 특유의 방식과 구도로 표현한다. 화면엔 대개 사실적 풍경과 감상적 색조의 층이 맞물려 있다. 화폭 한쪽에는 근대기 쌓은 마름모꼴 왜식 축대와 1960~70년대 풍의 조악한 콘크리트 담장, 좁은 골목길 등이 표현되고, 다른 쪽엔 검남색부터 하늘빛, 연둣빛으로 변하면서 깔리는 하늘층이나 길 끝자락을 맴도는 허연 대기 같은 것들이 똬리 같은 나무숲 이미지와 어울리고 있다.

하 작가의 몽환적인 풍경들을 서울 경복궁 서쪽 영추문 맞은편에 있는 인디프레스갤러리의 5인전 ‘기억’에서 만난다. 6일까지 열고 마무리되는 전시회다. 한국 현대사 연작을 그린 리얼리즘 화단의 대가 신학철, 화폭을 누더기처럼 만드는 핍진한 필법으로 인물과 풍경의 심연을 파고들어가는 김명숙 작가, 풍경과 내면에 대한 실험적 묘사를 거듭하며 현대 한국화에서 독보적 영역을 닦은 유근택 작가, 사실과 추상, 응시와 방관 사이에서 진동하는 회화를 구현한 최진욱 작가의 근작들과 함께 볼 수 있다. 전시장은 오전 11시30분부터 오후 6시30분까지 열린다.

글·사진 노형석 기자 nug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해뜰날’ 가수 송대관 별세 2.

‘해뜰날’ 가수 송대관 별세

“현철 선생님 떠나고 송대관 선배까지…” 트로트의 한 별이 지다 3.

“현철 선생님 떠나고 송대관 선배까지…” 트로트의 한 별이 지다

경주 신라 왕궁 핵심은 ‘월성’ 아닌 ‘월지’에 있었다 4.

경주 신라 왕궁 핵심은 ‘월성’ 아닌 ‘월지’에 있었다

이승환, ‘대관 취소’ 구미시장 상대 헌법소원…“끝까지 갈 것” 5.

이승환, ‘대관 취소’ 구미시장 상대 헌법소원…“끝까지 갈 것”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