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영화·애니

등장인물도 볼거리도 종합판…‘쥬라기’ 시리즈 끝판왕이 온다

등록 2022-05-31 12:22수정 2022-06-01 02:02

29년에 걸친 시리즈 최종편 ‘쥬라기 월드: 도미니언’ 1일 개봉
1일 세계 최초로 한국에서 먼저 개봉하는 <쥬라기 월드: 도미니언> 스틸컷. 유니버설픽처스 제공
1일 세계 최초로 한국에서 먼저 개봉하는 <쥬라기 월드: 도미니언> 스틸컷. 유니버설픽처스 제공
인류가 태어나기 전 지구를 지배하다 멸종한 공룡은 늘 동경과 공포의 대상이었다. 그 공룡을 현세에 되살려낸다는 발상은 신의 한수였다.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이 마이클 크라이턴의 동명 소설을 스크린으로 옮긴 <쥬라기 공원>(1993)은 전세계 관객들을 흥분시켰다. 영화는 시리즈로 이어졌다. <쥬라기 공원> 시리즈 3편에다 2015년부터 재개한 <쥬라기 월드> 시리즈 2편까지 더하면 전세계 흥행 수익이 무려 50억달러(약 6조2000억원)에 이른다.

29년에 걸친 시리즈 대단원의 막을 내리는 마지막 편이 관객들과 만난다. 1일 세계 최초로 한국에서 먼저 개봉하는 <쥬라기 월드: 도미니언>(<쥬라기 월드 3>)이다. 전체 시리즈의 아버지 스필버그가 제작을 맡고, <쥬라기 월드> 시리즈를 이끌어온 콜린 트러보로 감독이 연출을 맡았다. 트러보로는 “<쥬라기 공원>으로 시작한 이야기의 모든 결말을 보여줄 것”이라며 “시리즈에 등장한 모든 캐릭터의 이야기가 담겨 있다”고 예고했다.

1일 세계 최초로 한국에서 먼저 개봉하는 <쥬라기 월드: 도미니언> 스틸컷. 유니버설픽처스 제공
1일 세계 최초로 한국에서 먼저 개봉하는 <쥬라기 월드: 도미니언> 스틸컷. 유니버설픽처스 제공
지난 30일 언론시사회에서 베일을 벗은 <쥬라기 월드 3>에는 감독의 말마따나 시리즈를 총정리하는 요소들이 가득하다. <쥬라기 월드> 시리즈의 주인공 오웬(크리스 프랫)과 클레어(브라이스 댈러스 하워드)뿐 아니라 원조 <쥬라기 공원> 시리즈의 주역 엘리 새틀러 박사(로라 던)와 앨런 그랜트 박사(샘 닐), 이안 말콤 박사(제프 골드블룸)까지 총출동한다. 시리즈 모든 편에 등장한 악역 헨리 우 박사(B. D. 웡) 또한 이번에도 함께했다.

배경은 전편 <쥬라기 월드: 폴른 킹덤>(2018)에서 이어진다. 이슬라누블라섬을 벗어난 공룡들은 이제 전세계로 퍼져 인간과 뒤섞여 산다. 밀거래와 불법 교배가 횡행하자 미국 정부는 생명공학업체 바이오신에 독점 포획권을 준다.

1일 세계 최초로 한국에서 먼저 개봉하는 <쥬라기 월드: 도미니언> 스틸컷. 유니버설픽처스 제공
1일 세계 최초로 한국에서 먼저 개봉하는 <쥬라기 월드: 도미니언> 스틸컷. 유니버설픽처스 제공
이야기는 두 축으로 흘러간다. 오웬·클레어 커플은 미 서부 외딴곳에 살며 유전자 복제로 태어난 메이지(이저벨라 서먼)를 친자식처럼 키운다. 어느 날 밀렵꾼들이 찾아와 오웬이 과거 조련했던 벨로시랩터 ‘블루’가 낳은 새끼 ‘베타’와 함께 메이지까지 납치한다. 한편, 고생물학자인 엘리와 앨런은 밭을 초토화하는 대형 메뚜기 떼를 보고 바이오신을 의심한다. 각각의 목표를 지니고 바이오신에 잠입한 두 무리가 나중에 만나면서 두 축의 이야기가 하나로 합쳐진다.

볼거리 스케일도 종합판이다. 오웬과 클레어 집이 나오는 초반부는 서부극 같고, 지중해 섬나라 몰타에서 벌이는 긴박한 추격전은 <007> <제이슨 본> 같은 첩보 액션물을 닮았다. 이탈리아 돌로미티산맥에 있는 바이오신 내부를 탐험하는 장면은 <인디아나 존스> 같은 어드벤처물을 떠올리게 한다. 무엇보다 시리즈 상징인 공룡을 보는 재미가 극대화됐다. 지상에서 가장 큰 육식동물로, 길이 13m, 무게 15톤의 몸으로 최고시속 48㎞로 달린다는 기가노토사우루스가 전통의 강자 티렉스와 펼치는 대결이 압권이다.

1일 세계 최초로 한국에서 먼저 개봉하는 <쥬라기 월드: 도미니언> 스틸컷. 유니버설픽처스 제공
1일 세계 최초로 한국에서 먼저 개봉하는 <쥬라기 월드: 도미니언> 스틸컷. 유니버설픽처스 제공
영화는 공존이라는 메시지를 설파하며 막을 내린다. 지금 우리에겐 공룡 대신 여러 동물을 비롯한 자연과의 공존이 절실하다는 메시지로 읽힌다.

서정민 기자 westm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