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제주엔

정상회담 이후 한반도 평화를 이야기하다

등록 2018-06-15 09:59

[제주&]6월26∼30일 제13회 제주포럼
노벨상 수상자 2명 연사로 참석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 전 캐나다·일본 총리도
한반도 비핵화 및 평화체제 집중해 다뤄
정상회담 이후 조성될 정세 관심사
제13회 평화와 번영을 위한 제주포럼(이하 제주포럼)이 ‘아시아의 평화 재정립’을 주제로 6월26일부터 28일까지 사흘간 제주도 서귀포시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다. △평화 △번영 △지속가능성 △다양성 △글로벌 제주 5개 카테고리에 43개 기관이 참여해 전체 세션 4개와 동시 세션 66개를 진행하고, 기업인 교류회 등 다양한 부대 행사도 연다.

특히 올해 제주포럼은 지난 4월과 5월 열린 두 차례의 남북 정상회담과 6월 북-미 정상회담 이후 실효성 있는 한반도 평화정착 방안 논의에 초점이 맞춰진다.

27일 오전에 열리는 개회식과 세계 지도자 세션에는 브라이언 멀로니 전 캐나다 총리, 후쿠다 야스오 전 일본 총리,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 등이 참석해 기조연설과 토론을 한다. 올해 제주포럼에는 특히 노벨상 수상자 2명이 연사로 참여한다. 27일 오전 9~10시 특별 세션에서는 2008년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폴 크루그먼 뉴욕시립대 교수가 글로벌 무역전쟁이 동북아 안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강연한다.

1996년 노벨평화상 수상자인 호세 라모스 오르타 전 동티모르 대통령은 28일 오전 특별 세션에서 인류 보편가치로서의 평화와 인권에 관한 메시지를 전한다. 2008년 노벨문학상을 받은 장마리 귀스타브 르 클레지오는 6월28일 오후 제주를 배경으로 쓴 자신의 소설을 소개하며 ‘평화와 치유의 섬 제주 토크’를 갖는다.

26~28일 사흘 동안 제주포럼은 한반도 비핵화 및 평화체제 관련 11개 세션을 하나로 묶어 집중적으로 다룬다.

포럼 첫날인 6월 26일에는 △한반도 비핵화·평화체제 추진 전략(통일연구원 주관) △정상회담 이후: 지속성과 북한의 변화, 정상회담 이후: 지속가능한 한반도 평화(동아시아재단) △한반도 비핵화와 주변국 국제정치의 영향: 미·일·중·러를 중심으로(제주평화연구원-국제정치학회) △기로 위의 동북아와 북핵(한국고등교육재단) 등 5개의 세션이 진행된다.

정상회담 이후 정세 전망을 다루는 동아시아재단 세션에는 정세현 전 통일부 장관, 이종석 전 통일부 장관, 진징이 베이징대 명예교수, 오코노기 마사오 게이오대 명예교수, 존 메릴 전 미 국무부 정보조사국 국장 등이 참석해 한반도 정세와 연계된 역내 유관국들과의 긴밀한 협력을 지속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한다.

27일에는 △정상회담 이후: 한반도 비핵화(동아시아재단) △국제자문위원회 세션: 평화외교를 통한 아시아의 평화 재정립(제주평화연구원) △ 문정인-필립 젤리코 전 미 국무부 자문관 특별대담: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제주평화연구원) 등 3개 세션이 열린다.

포럼 마지막 날인 28일에는 △한반도 평화는 불가능한가(국립외교원) △협상 시대의 도래와 한국외교(한국외교협회) △비핵화와 신뢰 구축(한국국방연구원) 등 3개의 세션이 열린다.

김대중-오부치 ‘21세기 새로운 한-일 파트너십 공동선언’ 20주년을 맞아 한-일 우호협력 증진 방안을 논의하는 세션도 열린다. 이 자리에는 한일의원연맹 한국 측 회장인 강창일 의원, 일본 측 회장인 누카가 후쿠시로 의원 등 양국 국회의원들이 참석한다.

이 밖에도 신남방정책, 자유무역협정 등 우리 외교 현안과 미-중 관계 등 국제 정세를 논의하는 여러 외교·안보 세션을 가질 예정이다. 글로벌 제주 관련 이슈들도 다양하게 마련된다. 6월26일 환태평양평화공원 도시협의체 콘퍼런스 등 글로벌 평화 도시 간 연대 세션, 6월28일 제주 4·3과 여성국제연대 모색 등 4·3 관련 세션과 동아시아 평화예술 네트워크 구축 등 문화 세션이 열린다. 제주포럼은 제주평화연구원(원장 서정하)이 주관하며, 각 프로그램의 세부 내용은 추후 제주포럼 홈페이지에서 찾아볼 수 있다.

온라인 등록 신청은 제주포럼 누리집에서 6월15일까지 받는다. 제주도민 및 전국의 학생은 무료 참관이 가능하다. 행사 기간에 신분증 또는 학생증을 제시하면 현장에서도 등록할 수 있다. 등록 관련 자세한 내용은 5월 1일부터 누리집이나 전화(064-735-1039)로 문의하면 된다. 제주/박영률 기자 ylpak@hani.co.kr

사진설명

제13회 평화와 번영을 위한 제주포럼(이하 제주포럼)이 6월26일부터 28일까지 서귀포시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다. 지난해 열린 제12회 제주포럼의 한 장면. 사진 평화와 번영을 위한 제주포럼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구준엽 아내 서희원 숨져…향년 48 1.

구준엽 아내 서희원 숨져…향년 48

일본서 경매될 뻔한 경복궁 선원전 편액, 108년 만에 귀환 2.

일본서 경매될 뻔한 경복궁 선원전 편액, 108년 만에 귀환

조성진 ‘가장 바쁜 피아니스트’ 5위…서울은 가장 뜨거운 음악도시 3.

조성진 ‘가장 바쁜 피아니스트’ 5위…서울은 가장 뜨거운 음악도시

웹툰 플랫폼 ‘피너툰’ 서비스 일방 종료…작가들 “피해 보상” 4.

웹툰 플랫폼 ‘피너툰’ 서비스 일방 종료…작가들 “피해 보상”

‘오징어 게임2’ 배우 이주실 별세…위암 투병 석달 만에 5.

‘오징어 게임2’ 배우 이주실 별세…위암 투병 석달 만에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