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훈이 ‘씨네21’ 연재작 모아
‘썰렁한’ 패러디 속 상상력 풍성 만화가 정훈이(33)씨가 텔레비전 드라마나 영화 따위를 패러디해 10여년 간 영화 주간지 <씨네 21>에 연재해 온 ‘정훈이 만화’가 책으로 추려져 나왔다. <정훈이의 내 멋대로 시네마>(12000원)와 <정훈이의 뒹굴뒹굴 안방극장>(11000원) 두 권이다. 주인공 남기남. 티브이, 영화 속에 푹 빠져있는데 거동조차 부담돼 보이는 앙바틈한 풍채로 오지랖도 넓다. <옥탑방 고양이>,은 물론 <반헬싱> <트로이> 등 최근의 영화까지 넘나든다.
<다모>의 남기남. 상처받았다. 포졸이라는 이유로 ‘다모’(김꽃달)의 사랑을 받기는커녕 면박까지 당한 탓이다. 좌포청 종사관이 부러울 법한데 무관 시험을 보기로 한 건 당연하다. 욕심만 있을 뿐 실력이 없는 건지 오십견이 온 건지 시간은 많이 흘렀고 어느새 활을 당기기조차 어렵다. 정씨의 <인어 아가씨>에도 드라마 주인공 아리영의 <인어 아가씨>만큼 애증이 담겨있다. 붕어아가씨는 붕어탕집 아들로 인해 자신이 사랑하는 붕어 대왕을 잃는다. 붕어탕집 며느리가 되어 복수할 날만을 꼽는데 붕어탕만 30년을 연구했다는 시어머니가 그를 몰라볼 리 없다. 책에는 붕어아가씨의 위기가 유쾌, 유장하게 그려져 있다.
정씨가 이렇게 익숙한 것을 비틀고, 정해져 있는 답을 뒤집는 패러디가 지금까지 400편을 넘는다. “첫 데뷔작은 티브이 보는 일에 소명의식을 느껴 ‘TV 중독증’에 걸린 실업자의 이야기였다. … 결국 내가 티브이 시청에 직업적 소명의식(?)을 느끼며 살게 된 셈”이라고 할 만큼 그의 전공분야는 미디어다.
‘시각’이 압도하는 현대사회에서 매체에 의해 주입된 이미지야말로 개성을 훼손하며 대중을 획일화하는 막강한 수단일 것이다. 정씨의 미디어 패러디가 지닌 의미를 음미해볼 수 있는 대목이다.
책은 계몽·사회풍자형이라기보다 그저 ‘썰렁한’ 패러디로서 억눌린 시선과 잠재한 상상을 드러내는 데 무게를 더한다. “허리 물론 없”고 “직업도 없”으면서 “은근히 예민”한 남기남과 그의 덩치를 고스란히 빼닮은 채 “츄리닝티, 앙큼한 눈빛”의 “잘난 체”까지 하는 ‘김꽃달’, “남기남 부려먹기”가 장기인 ‘씨네박’이 대표 인물인데, 푸근한 생김새부터 그 취지에 어울린다. 이끼북스 펴냄.
임인택 기자 imit@hani.co.kr
‘썰렁한’ 패러디 속 상상력 풍성 만화가 정훈이(33)씨가 텔레비전 드라마나 영화 따위를 패러디해 10여년 간 영화 주간지 <씨네 21>에 연재해 온 ‘정훈이 만화’가 책으로 추려져 나왔다. <정훈이의 내 멋대로 시네마>(12000원)와 <정훈이의 뒹굴뒹굴 안방극장>(11000원) 두 권이다. 주인공 남기남. 티브이, 영화 속에 푹 빠져있는데 거동조차 부담돼 보이는 앙바틈한 풍채로 오지랖도 넓다. <옥탑방 고양이>,
|
||||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