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문화일반

고려 ‘황금 불경’ 일본서 돌아왔다…길이 10m에 적힌 문구는

등록 2023-06-15 10:18수정 2023-06-15 19:11

금가루물로 쓴 고려사경 묘법연화경 일본서 환수 공개
<묘법연화경> ‘권제6’의 변상도 부분.
<묘법연화경> ‘권제6’의 변상도 부분.

700년 전 고려 선조들의 간절한 기원을 담아 금물로 옮겨쓴 불경은 세계적으로 이름 높은 미술품이다. 불화와 더불어 고려인들의 독창적인 예술품으로 세계미술사에 아로새겨진 이 사경(寫經) 예술의 걸작 한 점이 돌아왔다.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은 14세기말 장인들이 중요한 불교경전인 <묘법연화경>의 내용을 금물로 정성껏 옮겨 적고 해설용 그림을 덧붙인 고려 사경 <묘법연화경 권제6(妙法蓮華經 卷第6)>이 최근 일본에서 환수됐다면서 15일 오전 서울 경복궁 경내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유물을 언론에 공개한다.

고국에 돌아온 <묘법연화경 권제6>은 감색 종이에 경전 내용을 먹물 대신 금물과 은물에 적신 붓으로 옮겨 적은 불경 필사본이다. 지난해 6월 일본 소장자가 재단에 팔겠다는 뜻을 밝힌 뒤 수차례 협상을 벌인 끝에 지난 3월 국내로 들어왔다고 재단 쪽은 전했다.

이 사경은 병풍처럼 접는 얼개의 절첩본(折帖本)이다. 표지에는 금물로 4개의 연꽃이 세로 구도로 그려졌다. 연꽃들 주위에 은물을 써서 여백 없이 넝쿨무늬를 그려넣었고, 그 위로 사각의 칸을 두어 경전의 제목을 적은 것이 특징이다. 접었을 때는 세로 27.6㎝, 가로 9.5㎝이며 첩을 펼쳤을 때는 가로 길이가 10m를 넘는다.

&lt;묘법연화경&gt; ‘권제6’의 모습. 변상도와 뒷면 표지가 보인다.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제공
<묘법연화경> ‘권제6’의 모습. 변상도와 뒷면 표지가 보인다.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제공

경전 내용을 압축해 그림으로 묘사한 ‘변상도(變相圖)’도 주목되는데, 모두 4개의 화면(畫面)으로 이뤄져 있다.

화면 오른쪽에는 <묘법연화경>의 내용을 대중에게 풀어 이야기해주는 석가모니불과 그를 따르는 여러 불교신상들(권속)이 있다. 왼쪽엔 사람들이 성내며 돌을 던져도 ‘그대들은 모두 성불하리라’고 말하는 상불경보살품(常不輕菩薩品·제20품)과 불길 속에 몸을 바쳐 공양하는 약왕보살본사품(藥王菩薩本事品·제23품)의 장면 등이 담겼다. <묘법연화경 권제6>에서 가장 극적인 내용들이다.

화면 오른쪽의 설법 장면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고, 화면을 선으로 빼곡하게 채운 점 등에서 14세기 후반 고려 사경의 특징이 잘 드러난다는 평가를 받는다.

불경의 문구는 모두 108면에 걸쳐 이어진다. 한 면당 6행씩, 각 행에는 17자의 글자가 적혀 있으며, 금물로 경계를 그리고 은물로 글자를 정성스럽게 적었다. 부처가 되는 길이 누구에게나 열려있다는 대중사상을 담은 <묘법연화경>의 전체 7권 중 제6권에 해당하는 부분을 옮긴 것으로, 묘법연화경 전파의 중요성과 공양 실천에 대한 강조가 주된 내용이다.

필사된 내용 중 23품에 해당하는 ‘약왕보살본사품(藥王菩薩本事品)’에는 <묘법연화경>이 ‘여러 경전 가운데 제일’이며, ‘이 경전을 듣고 스스로 쓰거나 다른 사람을 시켜 쓰면, 그 얻는 공덕은 부처님의 지혜로 많고 적음을 헤아려도 그 끝을 알 수 없다’ 는 효능이 적혀 있어 눈길을 끈다.

사경의 원본인 <묘법연화경>은 중국 후진시대(384-417)의 승려 구마라집(鳩摩羅什, 344-413)이 한문으로 번역한 7권 28품의 경전이 국내에서 가장 널리 통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환수된 사경 유물은 구마라집의 한문번역본 7권 중 제6권을 옮겨 적은 것이며 18품에서 23품까지의 내용이 담겼다.

사경은 원래 불교 교리를 전파하기 위해 제작됐지만, 고려시대에는 왕족과 귀족들이 극락왕생 등의 소원을 빌고 공덕을 쌓는 기도 수행의 방편으로 널리 성행했고 국가 기관인 사경원(寫經院)까지 세워졌다는 기록이 전한다.

재단 쪽은 “환수한 사경은 불교문화유산으로서의 종교적 가치와 미적 가치를 함께 자랑하며, 700년 가까운 시간이 흘렀음에도 보존 상태가 양호해 향후 다양한 연구와 전시 등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글 노형석 기자 nuge@hani.co.kr, 사진 도판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제공

&lt;묘법연화경&gt; ‘권제6’ 뒷면 표지.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제공
<묘법연화경> ‘권제6’ 뒷면 표지.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