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문화일반

한국 단색조 회화 선구자 김기린 작가 별세

등록 2021-08-15 10:14수정 2021-08-16 02:03

파리 거처에서…향년 85
지난 2016년 갤러리 현대 개인전 당시 자신의 추상그림 앞에 선 고 김기린 작가.
지난 2016년 갤러리 현대 개인전 당시 자신의 추상그림 앞에 선 고 김기린 작가.

최근 미술시장에서 각광받는 한국 단색조 회화 (모노크롬)의 서막을 연 선구자로, 1960년대 이래 프랑스에서 작업해온 김기린 작가가 세상을 떠났다. 그의 전속화랑인 갤러리 현대는 지난 12일 오후 (현지시각 ) 파리 거처에서 작가가 숙환으로 별세했다고 밝혔다 . 향년 85.

고인은 함경남도 고원 출신으로, 한국외대 불어과를 졸업한 뒤 1961년 프랑스로 유학해 디종대와 파리의 국립고등미술학교 , 국립고등장식미술학교에서 수학했다 . 그 뒤 50여년간 파리에 살면서 단일 색조의 화면에 사각형과 점의 형상들이 도톨한 질감으로 겹쳐지게 하는 특유의 모노크롬 추상화 등을 창작해왔다 .

생전의 김기린 작가.
생전의 김기린 작가.

김기린 작가가 2008년 그린 유화 <안과 밖(Inside, Outside)>.
김기린 작가가 2008년 그린 유화 <안과 밖(Inside, Outside)>.

메를로퐁티 , 사르트르 등의 실존주의 사상에 심취했던 작가는 평생 ‘회화의 안과 밖’이란 화두를 부여잡고 색면의 속성을 뜯어보는 미학적 탐구를 지속했다 . 한국 화단의 고질적인 학맥 파벌 구도와는 담을 쌓고 색과 화면 같은 회화의 본질 찾기에 몰두했던 그의 작품 세계는 말년기인 2000년대 이후 한국 단색조 회화의 서막을 연 작업으로 재조명되면서 본격적으로 부각됐다. 사유가 빈곤하다는 비판을 받는 1970~90년대 국내 단색조 화파와 대별되는 지성적 회화란 평가를 받기도 했다.

생전 대구미술관 , 서울시립미술관 , 과천 국립현대미술관 등에서 전시했고 , 디종미술관 , 파리시립현대미술관 , 한국 국립현대미술관 , 서울시립미술관 등에 작품이 소장돼 있다 . 유족으로 부인 민병수씨와 1남 1녀가 있으며, 모두 프랑스에 살고 있다.

노형석 기자 nuge@hani.co.kr, 도판 갤러리 현대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해뜰날’ 가수 송대관 별세 2.

‘해뜰날’ 가수 송대관 별세

“현철 선생님 떠나고 송대관 선배까지…” 트로트의 한 별이 지다 3.

“현철 선생님 떠나고 송대관 선배까지…” 트로트의 한 별이 지다

경주 신라 왕궁 핵심은 ‘월성’ 아닌 ‘월지’에 있었다 4.

경주 신라 왕궁 핵심은 ‘월성’ 아닌 ‘월지’에 있었다

뉴진스 새 팀명은 ‘NJZ’…3월 ‘컴플렉스콘 홍콩’에서 신곡 발표 5.

뉴진스 새 팀명은 ‘NJZ’…3월 ‘컴플렉스콘 홍콩’에서 신곡 발표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