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훈 전남과학대 교수는 일본에서 근대문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쑥스러운 얘기지만, 그때까지 이석성의 존재를 전혀 모르고 있었습니다.”
일제강점기 이석성(본명 이창신·1914~48) 시인의 시를 발굴해 일본 문예지에 처음 번역·소개한 김정훈 전남과학대 교수의 말이다. 일본의 간세이가쿠인대에서 ‘나쓰메 소세키’ 연구로 문학박사 학위를 받은 이래 한·일 문학교류에 앞장서온 김 교수는 “그의 시를 읽는 순간 뜨거운 감정이 복받쳐 올라와 견딜 수 없었다”고 덧붙였다.
김 교수가 일본의 시 전문 문예지 <시와 사상>(3월호)에 소개한 이석성 작가의 시 원본을 처음 본 것은 지난해 8월이었다. 그는 소설가 이명한(89) 광주전남작가회의 고문을 통해 시를 건네받았다. 이 고문은 바로 이석성 시인의 아들이다. 그는 <소설문학> 동인으로 <황톳빛 추억>, <달뜨면 가오리다> 등의 작품을 낸 작가로, 송기숙·문병란 시인과 함께 민족문학작가회(현 한국작가회의) 광주전남지부 초대 공동의장을 지냈다.
전남 나주시 봉황면 유곡리에서 태어난 고 이석성 작가와 대를 이어 소설가로 활동중인 그의 아들 이명한 광주전남작가회의 고문. 김정훈 교수 제공
이석성이 쓴 시의 제목은 ‘우리들의 선구자 말라테스타를 애도한다’였다. 이탈리아의 아나키스트, 에리코 말라테스타(1853~1932)가 세상을 뜨고 한달 뒤 일본어로 쓰인 작품이다. 그는 “삶과 죽음은 순식간에 왔다 사라지는 것/ 지금 우리는 그걸 슬퍼하는 게 아니다/ 헌데 지금/ 우리가 가장 용감한 투사를 잃을 줄이야…”라며 애도했다. 김 교수는 “1932년 8월에 이 시를 일본어로 쓴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했다”고 한다.
김 교수는 “이석성을 한국문단사에 전혀 알려지지 않은 인물로 소개한 기사(2001년 3월13일치 <광주타임즈>)가 그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채희윤 광주여대 교수는 “이석성은 1930년대 호남지역 문인 중 유일하게 프롤레타리아 문학을 주창했고, 탈식민지주의적 관점에서 재해석해야 할 필요가 있었지만 작품이 발견되지 않아 연구가 이뤄지지 않았던 작가”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그는 논고 ‘조선남부의 저항작가 이석성을 읽는다-발굴의 의미를 담아-’를 <시와 사상> 4월호와 5월호에도 이어 소개할 예정이다.
이석성 작가가 1932년에 일어로 쓴 시의 육필 원본. 김정훈 교수가 일본 문예지 <시와 사상>(2021년 3월호)에 번역해 소개했다. 김정훈 교수 제공
김 교수는 지금껏 제목만 알려져 있던 이석성의 소설 <제방공사>이 실린 잡지 <신동아>(1934년 10월~12월호)를 전남대 도서관에서 어렵사리 찾아냈다. 그런데 정작 <신동아>에도 소설의 ‘1회’(10월호) 5쪽과 ‘2회’(11월호) 5쪽만 소개되어 있었다. 게다가 1회 2절의 7~8행, 2회 3절 20행 정도가 복자(伏字)로 적혀 있었다. 복자란 인쇄물에서 내용을 밝히지 않으려고 일부러 비운 자리에 ‘○’, ‘X’ 따위의 표를 찍는 것을 뜻한다. 그나마 11월호부터는 온통 복자 투성이의 도입부 페이지에 삽화 하나만 덜렁 실려 있을 뿐 모든 내용이 삭제됐다. 김 교수는 “조선총독부의 검열로 3회부터는 전면 삭제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조선총독부 검열로 삽화만 실리고 본문은 ‘복자’로 지워진 이석성의 소설 ‘제방공사’. <신동아> 1934년 12월호.
김 교수는 지난해 8월 이명한 작가의 자택에서 이석성의 광주학생운동 관련 재판 기록도 입수했다. 광주학생독립운동이 일어난 1929년 11월 나주농업보습학교 2학년생이던 이석성은 구속학생 석방을 요구하며 시위를 주도하다가 붙잡혀 재판에 넘겨졌다. 이석성은 2019년 뒤늦게 독립유공가로 인정받았다.
김 교수는 “일본으로 갔던 이석성은 일본 서적을 탐독하며 진보적 사상의 영향을 받았다. 이석성의 삶과 행적을 알게 되면서 시와 소설에서 공통점을 발견한 듯한 느낌이 들었다”고 말했다.
정대하 기자
daeh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