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애란 지음/열림원·1만3500원 소설가에게 산문이란 여기(餘技)이거나 용돈 벌이의 수단으로 치부되기 십상이다. 소설보다는 부담이 덜하고 손을 풀듯이 편안하게 쓸 수 있는 장르로 여겨지기도 한다. 독자쪽에서는 소설가와 그의 소설에 접근하기 위한 징검다리로 산문을 활용할 수도 있다. 산문에서 작가는 자신의 문학적 성장담과 소설 배경, 주변 사람들 이야기 등을 진솔하게 털어놓기 때문이다. 김애란(사진)이 등단 17년 만에 내놓은 첫 산문집 <잊기 좋은 이름> 역시 작가와 독자의 거리를 좁히는 본연의 임무에 충실하다. 가령 책 맨 앞에 실린 글 ‘나를 키운 팔 할은’에서 그는 자신의 단편 ‘칼자국’ 등의 배경이 된 어머니의 손칼국수집에 얽힌 사연을 들려준다. 어머니가 8년간 운영했던 이 식당에서 김애란은 “손님과 더불어 그들이 몰고 온 이야기”를 접했으며, “그곳에서 내 정서가 만들어”졌노라고 털어놓는다. “어머니가 경제 주체이자 삶의 주인으로 자의식을 갖고 꾸린” 그 공간에서 그는 또 “내가 가진 여성성에 대한 긍정적 상이랄까 태도를” 배웠다고 한다. “타닥타닥 타자 치는 소리와 비슷하게 평온하고 규칙적인 도마질 소리를 들으며 밀가루를 먹고 무럭 자라 열아홉이 되었다.” 그 어머니는 딸의 등단 소식을, 동네 아주머니들과 같이 간 노래방에서 들었다. 그런가 하면 동기들이 마련한 축하 모임에 프랜차이즈 제과점이 아닌 학교 앞 허름한 빵집에서 산 아이스크림 케이크를 들고 온 남자 동기는 풀 죽은 채 ‘배스킨라빈스 걸 사 왔어야 했는데’라는 말을 몇 번이고 중얼거렸다. 김애란은 그로부터 오랜 뒤에야 그 말이 “얼마나 다정한 말인지 새삼 깨달았다”고 밝힌다. “그 무렵 그렇게 조금씩 어딘가 모자라고 우스꽝스럽고 따사로운 무엇이 나를 키우고 가르친 건 아니었을까 하고.”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