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남·북 모두 경험한 여성 노동자가 말하는 북한

등록 2019-05-10 06:01수정 2019-05-10 19:47

나의 살던 북한은
경화 글·그림/미디어일다·1만4000원

탈북여성 경화는 북한에서 30여년, 남한에서 20여년을 살았다. 1990년대 중반 극심한 식량난으로 중국에서 식량을 구하고자 북한 국경을 넘은 게 가족과의 생이별이 될 줄 몰랐다. 북한에서 노동자로 살았던 그는 남한에서도 계약직 청소노동자로 일한다. 남북을 모두 경험한 ‘여성’ ‘노동자’인 그가 <나의 살던 북한은>을 펴냈다. 노래처럼 ‘나의 살던 고향은~’을 떠올리며 평범한 북한 사람들의 가정과 양육, 노동과 일상들을 글과 그림으로 풀어낸 책이다.

저자가 소개하는 북한 체제와 문화는 재밌으면서 인상적이다. 150일간 보장되는 출산휴가와 직장마다 있는 탁아소, 있으나 생전 찾아갈 일 없는 은행, 당이 정한 책 위주로 ‘1년에 만페이지 읽기’ 운동을 하는 학교 등에 대한 설명은 흥미롭다. 경제난은 북한 사회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식량난으로 식당이나 배급소에서 일하는 게 선망하는 직업으로 꼽힌다. 의약품 부족으로 제대로 치료받지 못해 죽거나 장애인이 되는 경우가 흔하자 민간에서 몰래 치료행위가 이뤄지기도 한다. 남한에서 병원에 갔을 때 한 움큼의 약을 먹고 어지러움을 호소하자 “옛날 약이 없던 시절대로 처방” 받고 나았다는 이야기는 웃음이 나면서도 생각할 거리를 준다.

책에 담긴 북한 사람들의 일상은 핵개발에 열중하며 독재체제를 찬양하는 뉴스 속 북한 모습과는 확실히 다르다. “남한에 와서 북한과 관련한 추측성 뉴스들을 볼 때면 불편하고 괴로웠다”는 저자는 “남과 북이 서로 교류와 협력을 해가면서 점차 통일의 문을 열었으면 좋겠다”는 당부를 잊지 않는다.

김미영 기자 instyl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신라왕실 연못서 나온 백자에 한글 ‘졔쥬’ ‘산디’…무슨 뜻 1.

신라왕실 연못서 나온 백자에 한글 ‘졔쥬’ ‘산디’…무슨 뜻

‘소방관’ 곽경택 감독 호소 “동생의 투표 불참, 나도 실망했다” 2.

‘소방관’ 곽경택 감독 호소 “동생의 투표 불참, 나도 실망했다”

탄핵날 ‘다만세’ 서현 SNS에 ‘소년이 온다’…이동욱 “봄 가까워” 3.

탄핵날 ‘다만세’ 서현 SNS에 ‘소년이 온다’…이동욱 “봄 가까워”

예수와 황제에게만 허락되었던 보라색 4.

예수와 황제에게만 허락되었던 보라색

“김상현은 민주화로 가는 ‘1985년 선거혁명’의 일등공신” 5.

“김상현은 민주화로 가는 ‘1985년 선거혁명’의 일등공신”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