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짜장면 면발로 이어진 동아시아 ‘국수 네트워크’

등록 2018-12-14 05:59수정 2018-12-14 21:05

짜장면-검은 유혹, 맛의 디아스포라
유중하 지음/섬앤섬·2만원

“짜장면은 라면이다.” 뭔 소리인가 싶은데, 한 술 더 뜬다. “짜장면과 베이징 카오야(오리구이), 지엔삥(전병)은 친척 관계다.” 급기야 중국 현대문학의 아버지 루쉰(魯迅)의 필명이 중국 산둥요리(노채·魯菜)에서 나왔다는 주장까지 나온다. 입이 딱 벌어진다.

유중하 연세대 교수(중문학)가 펴낸 책 <짜장면>은 음식을 통해 본 동아시아 이야기다. 중국 산둥지방의 음식이 우리나라에 와서 짜장면이 됐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지은이는 개별 음식의 족보가 아니라 동아시아를 가로지른 문화의 계보를 통째로 파고든다. ‘팩트’는 촘촘하되, 기발한 상상력은 면발처럼 춤춘다.

중국의 라오베이징 자장. 출처 바이두
중국의 라오베이징 자장. 출처 바이두
밀가루 반죽을 치대어 길게 늘여 만드는 것을 중국에서 랍면(拉麵)이라 하니, 일본의 라멘이나 우리의 짜장면이나 그 정체는 라면인 셈이다. 춘장이란 말은 산둥지역의 특산품인 파를 찍어먹는 장인 총장(蔥醬)에서 왔다. 밀가루, 춘장, 파(양파) 등을 필수요소로 삼는 짜장면, 베이징 카오야, 지엔삥은 모두 “비슷한 기호들의 통합에 의한 먹을거리”이니, 서로 친척 사이다. 이 모든 것의 배경에 있는 산둥요리의 가장 큰 특징은 ‘폭’(爆·센 불에 빠르게 조리하는 것)과 ‘작’(炸·끓는 기름에 튀기는 것)이란 조리법이다. 지은이는 루쉰의 전투적인 혁명 노선이 이런 산둥의 기질에서 영향을 받았다고 추측한다.

라면이 짜장면이 되어 온 동아시아의 ‘국수 네트워크’가 보여주듯, 음식은 늘 ‘박채중장’(博采衆長·널리 여러 사람의 장점을 취하다)이다. 그러니 전쟁은 집어치우고, 대신 ‘국수전쟁’을 벌여서 면에다 평화를 말아먹고, 또 비벼먹어 보자고 지은이는 제안한다.

최원형 기자 circl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신라왕실 연못서 나온 백자에 한글 ‘졔쥬’ ‘산디’…무슨 뜻 1.

신라왕실 연못서 나온 백자에 한글 ‘졔쥬’ ‘산디’…무슨 뜻

뉴진스 김밥·삼계탕·만둣국 선결제…“함께 힘내요” 2.

뉴진스 김밥·삼계탕·만둣국 선결제…“함께 힘내요”

우리가 지구를 떠날 수 없는, 떠나선 안 되는 이유 3.

우리가 지구를 떠날 수 없는, 떠나선 안 되는 이유

‘소방관’ 곽경택 감독 호소 “동생의 투표 불참, 나도 실망했다” 4.

‘소방관’ 곽경택 감독 호소 “동생의 투표 불참, 나도 실망했다”

탄핵 집회에 힘 싣는 이 음악…‘단결한 민중은 패배하지 않는다!’ 5.

탄핵 집회에 힘 싣는 이 음악…‘단결한 민중은 패배하지 않는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