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9년 데뷔 앨범을 낸 이래 꾸준히 활동하고 있는 록그룹 ‘븍랙홀’. 사진 소니비엠지 제공
록그룹과 사회주의 이념은 같다
‘하나를 위한 모두, 모두를 위한 하나’
그룹 블랙홀은 20년 가까이 활동
그 당당한 꾸준함이 좋다
댓글 민족주의 시류에 속상한 이는 들어보기를
‘하나를 위한 모두, 모두를 위한 하나’
그룹 블랙홀은 20년 가까이 활동
그 당당한 꾸준함이 좋다
댓글 민족주의 시류에 속상한 이는 들어보기를
이재현의 인물로 세상읽기/락그룹 ‘블랙홀’
한국에서 락 음악을 한다는 것은 저주받은 일에 속한다. 헤비 메틀을 한다는 것은 더욱 그러하다. 그런데 일단, 여기서 주의할 것은 메탈이 아니라 메틀이라는 것이다. 디지탈이나 디지털이 아니라 디지틀이듯이 말이다. 그러니까 내 말은, 영어 발음에 우리 모국어의 발성 구조가 간섭하듯이, ‘롹’을 하는 데에도 한국 사회의 여러 구조적 조건이 간섭을 하고 제약을 가한다는 것이다.
한국 최초의 ‘록’ 음반은 신중현이 이끈 4인조 그룹 ‘에드 훠(The Add 4)'의 데뷔 앨범 <비속의 여인>(1964)이라고 한다. 연주와 노래는 물론이고 작곡과 편곡의 면에서도 외부의 도움을 받지 않고 “그룹 스스로 모든 것을 했다”는 점에서 최초라는 것이다. 하지만, 한국 ‘락’ 음악의 초창기에는 ‘에드 훠’, 그러니까 ‘애드 포’ 말고도 ‘키 보이스’와 ‘코끼리 브라더스’도 활동하고 있었다고 알려져 있다. 이들 사이에 누가 원조냐 하는 것은 논쟁 거리에 속한다.
뽕짝과 어울려 ‘트로트 메틀’로
그런데, ’키 보이스‘의 유명한 노래 <해변으로 가요>(1970)는 상당 기간 동안 김희갑 작사, 작곡으로 알려져 왔고 더 거슬러 올라가서는 키 보이스 작사, 작곡으로 정정되기도 했었는데, 얼마 전에 그렇지 않다는 게 밝혀졌다. 소설가 이호철이 가사를 번역한 이 노래는 원래 8인조 일본 그룹의 것이었고 이 그룹을 이끌던 한국계 일본인이 작사, 작곡한 것이라고 한다.
뭐, 이것만은 아니다. 중딩이 시절의 내가 하루에도 수십번씩 불러제끼곤 했던 신중현의 <미인>도 그 기타 전주 부분이 알고 보면 지미 헨드릭스의 ‘Voodoo Chile(부두 칠레)’의 그것과 거의 똑같다. 물론,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신중현을 좋아하고 존경한다. 마찬가지로 그 기원이야 어떻든 간에 내 몸에 <해변으로 가요>는 한국 가요로 새겨져 있다. 달리, 이미 1970년대 후반에 <부루 라이또 요코하마>는 그 쓰임새에 있어서 더 이상 일본 노래가 아니었다.
‘트로트 메틀’이라는 괴상한 용어가 말해주고 있는 것처럼 서구 락 음악의 다소간에 본원적인 듯한 장르적 성격들은 한국에서 특유의 ‘뽕’양식 안으로 용해되거나 흡수되어 왔다. 이렇게 키취적이고 혼성적인 제약과 한계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락 음악은 1980년대 중반에서 활짝 꽃피게 된다. 이 땅의 ‘롸커’들이 끊임없이 ‘롹’의 ‘진정성’을 추구해 온 노력의 결과였다. ‘시나위’ ‘부활’ ‘백두산’과 같은 락 그룹이 한꺼번에 등장해서는 1986년에 첫 앨범들을 선보이기 시작한 것이다. 이들 그룹의 기타리스트 신대철, 김태원, 김도균은 신중현, ‘산울림’, 김수철, ‘들국화’ 등과 더불어 한국 락 음악의 명예의 전당에 들어갈 만하다. 잘 알려져 있다시피, 임재범, 김종서, 서태지 등은 이들 세 그룹과 관계가 깊다.
한국 락 음악 중흥의 역사도 1986년부터 꼽아서 올해로 20년이다. 어떤 점에서는 광복 60주년보다 값지다. 또, 한국 락의 역사에서 1986년의 르네상스는 소위 정치적 민주화와 관련하여 언급되는 ‘87년 체제’에 못하지 않다. 중흥기 이후의 한국 락 음악은 민노총 10년의 두 배만큼이나 나이를 먹은 것이다. 이승철이 한때 몸담았던 그룹 ‘부활’은 올 여름에 10집 앨범 <서정>을 냈고, 수능 성적 발표 하루 전날에 20주년 기념 공연을 할 예정이다.
임재범이 시나위에 남았더라면
엉뚱하게 들리겠지만, 본디 락 그룹과 사회주의는 그 이념이 같다. 그 공통 이념은 ‘모두가 하나를 위해서, 하나는 모두를 위해서’로 요약된다. 흔히 우리는 락 그룹을 리더라든가 리드 보컬의 이름을 통해 기억하고 있기는 하다. 그렇지만, 락 그룹이 내부 주도권 다툼으로 이합집산을 거듭하다가 해체되어 버리지 않기 위해서는 사회주의 이념의 관철이 필요하다. ‘딥 퍼플’의 을 들어보자. 그 유명한 리치 블랙모어도 절에 간 색시처럼 얌전하게 오르건에 맞춰서 연주하고 있다. 이게 바로 락 그룹의 맛이라면 맛이다.
마찬가지로, ‘비틀즈’는 1974년 법적 종말을 맞이할 때까지 햇수로 20년쯤 간 셈인데, 내부의 갈등과 알력에도 불구하고 리드 보컬을 딱히 내세우지 않아서 이게 가능했다고도 할 수 있다. 내가 개인적으로 제일 좋아하는 노래는 죠지 해리슨이 작곡한 인데, 이 곡의 연주에서는 정말로 기타가 울고 있다. 그런데 연속적인 쵸킹 주법 사이에 해머링 온과 풀링 오프를 섞음으로써 정작 기타를 울리고 있는 이는 에릭 크랩톤이다.
정반대 쪽에서 이야기할 수도 있다. 락 밴드의 고유한 색깔을 지켜내기 위한 과정에서 멤버들이 들락날락하는 경우가 실제로는 더 많다. 임재범이 ‘시나위’에 계속 있었더라면 한국 락 음악은 역사적으로 훨씬 더 진보했을 것이다. 87년 대선에서 운동권이 분열하지 않았더라면 하는 가정과 마찬가지로 매우 부질없는 공상이기는 하지만 말이다. 임재범과 같이 뛰어난 가창력을 지닌 이가 락의 영역을 벗어나서 방랑과 비운의 가객으로 머물고 만 것은 너무 안타까운 일이다. 물론 ‘롹’만이 음악은 아니지만.
한국의 헤비 메틀 그룹 중에서 내가 제일로 꼽는 것은 ‘블랙홀’이다. 블랙홀은 86년의 3대 밴드보다는 조금 늦게 89년에 데뷔 앨범을 냈지만 결성부터 따지자면 20년은 넉넉히 된다. 당시 1980년대 중반의 헤비 메틀 붐은, 고등학교 한 반에 한 팀이라는 말이 떠돌 정도였다. 블랙홀은 몇 년간의 무수한 라이브 활동을 원동력으로 해서 1988년의 어떤 가요제에서 대상을 타면서 등장했다.
내가 블랙홀을 좋아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인데 그 중 하나는 꾸준하다는 것이다. 자신의 음악적 색채를 굳건히 지키고 있음은 물론이고 전국 투어를 끊임없이 해왔다. 들리지 않은 대학 캠퍼스가 거의 없을 정도라는 것이다. 지금도 부르면 언제 어디든지 달려간다. 물론 자존심을 해치지 않는 범위의 개런티를 당당히 요구하면서 말이다. 이렇게 당당한 꾸준함이 나는 좋다.
블랙홀의 곡 중에서 내가 제일 좋아하는 것은 <바람을 타고>다. 대중적으로 알려진 곡은 초기의 <깊은 밤의 서정곡>이지만 그 곡은, 내 취향에 기대어 말하자면, 시나위의 <크게 라디오를 켜고>나 <그대 앞에 난 촛불이여라>보다 상당히 떨어지는 듯하다. 보컬도 다소 약한 듯한데다가 쉽게 귀를 질리게 만든다. 이에 반해 <바람을 타고>는 기타 반주나 보컬 모두 스피디하고 파워풀하다. 가사의 정서적 소구력도 뛰어나며 음악적 부분과도 잘 어울린다. 판소리에서 ‘부침새’라고 하는 바, 음악적 박(拍)과 모국어 노랫말의 발성이 서로 분절되고 맞물리는 짜임새도 아주 자연스럽고 멋지다. 80년대 헤비 메틀의 최고 명곡이라고 평가되어 온 의 영어 가사로는 애당초 불가능한 경지인 셈이다.
록 즐기기에 너무 늙은사람 없다
블랙홀의 최신 앨범 8집 에는 한국 전통음악의 어법과 악기가 동원되었다. <삶>에는 염불 스타일의 모티브가 중심이 되어 있는 데다가 아쟁이 반주에 쓰인다. <달빛 아래 홀로 걷다>에는 대금 소리가 들어가 있다. 단지 실험되고 마는 것이 아니라 헤비 메틀 장르 안에 제대로 녹아 있는 것이다. 부활의 10집 앨범 <서정>의 수록곡인 <추억 이면(裏面)>이나 <슬픔을 이기는 기도>가 쉽게 귀에 들어오게끔 팝 스타일로 만들어진 것과는 다른 방식으로 살아남으려는 노력의 소산인 셈이다.
물론, 내 말은 부활 쪽이 덜 정통적이라거나 더 쳐진다는 얘기가 결코 아니다. 나는 부활 쪽 노래도 역시 좋고 ‘뮤비’에 나오는 조승우의 미디엄 섀기(shaggy) 스타일의 머리 모양새도 맘에 든다.
최근, 두서너줄 짜리 ‘댓글 민족주의’의 메인 스트림에 속이 상한 분들일랑 꼭 블랙홀과 부활의 최신 앨범을 사서 듣기를 진정으로 권한다. 이것이 광복 60주년 마지막 달에 창궐하는 ‘파쇼적 애국심’에 저주의 파열구를 내는 유일한 길이니까. 누구든 락 스타가 되기에 너무 늙은 사람도 락을 즐기기엔 늘 아직 새파랗게 젊은 법이다.
이재현/작가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