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일본 독일 ‘미군 기지’ 연구
독일에선 예의바르고 ‘좋은 이웃’
한·일 기지촌 폭력과 범죄 부담
문승숙·마리아 혼 교수의 ‘역작’
독일에선 예의바르고 ‘좋은 이웃’
한·일 기지촌 폭력과 범죄 부담
문승숙·마리아 혼 교수의 ‘역작’
기지촌 내 두 연인, 서울 북부(1965). 그린비 제공
문승숙·마리아 혼 엮음, 이현숙 옮김/그린비·3만7000원 미군 기지촌 ‘위안부’ 여성들이 ‘대한민국’을 상대로 청구한 손해배상소송 선고 공판이 20일 열린다. 2014년 6월25일에 소송을 제기한 지 2년 반 만의 일이다. 122명의 미군 기지촌 위안부들은 국가가 직접 기지촌을 만들고 ‘기지촌 정화대책’으로 여성들을 관리해왔으며, 성매매를 권유하고 조장했다고 주장했다. ‘피고 대한민국’은 이런 주장을 전면부인하고 있다. <오버 데어>는 미국 영토 외부에 배치된 미군의 90%가 있는 한국과 일본(오키나와), 독일(서독)의 미군 기지를 중심으로 미군과 주둔 사회간 상호관계를 중심으로 살폈다. 세계에 거미줄처럼 얽혀있는 미군 기지들은 주둔군지위협정(SOFA)으로 치외법권적인 공간을 형성했다. 군 기지의 특성상 명시적으로 드러나지 않는 이 공간에선 인종, 계급, 성을 가로지르며 폭력적이고 불평등한 문제가 발생했고 쉽게 은폐됐다. 미국 바사대학교 문승숙 교수(사회학)와 마리아 혼 교수(역사학)는 미군 기지를 군사제국의 팽창이라는 관점에서 바라보고 미군 기지가 각 사회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다. 해외 미군 기지는 나라마다 다른 양상을 보인다. 한국에는 주로 젊은 독신 남성 군인을 1년간 배치한 반면, 일본과 독일에는 2∼3년으로 복무 기간을 조금 더 길게 두었고 아내와 자녀도 함께 갈 수 있도록 배려했다. 한국을 상시 전시지역으로 간주해, 가족을 함께 보내기엔 너무 위험하다고 판단한 것이다. 미군과 각 주둔국 사회 사이의 관계도 다르게 형성되었다. 가족을 동반해 긴 복무기간을 부여받고 배치된 기혼 군인들은 미혼 군인들에 견줘 기지 주변 주민들과의 관계가 “훨씬 더 ‘정상적’”이었다. 공간적 합의도 중요하다. 한국과 일본의 미군 기지는 주로 소외된 지역에 자리잡았다. 경기도 평택·오키나와 등 기지촌 주민들은 미국 군대의 존재가 만든 성산업과 미군 범죄, 환경문제 등의 짐을 짊어져야 했다. 반면 독일의 미군기지는 “주민들 사이에 흩어져 있는 만큼 ‘좋은 이웃’의 역할”을 충실히 해야 했다. 저자들은 “미국의 군사제국이 국가간의 경계와 주권을 흐리게 하는 혼성적인 공간을 형성하는 데 일조”했고, 이 “혼성공간은 치외법권적인 군사기지와 미군 병사와 지역주민들이 교류하는 곳인 ‘오버 데어’에 존재”한다고 봤다.
한국전쟁 당시 식량을 운반하고 있는 카투사. 그린비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