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부터 이틀간 비판사회학대회 18개분야 130여명 발표·토론
4일부터 이틀간 서울대 사회과학대학에서 비판사회학대회가 열린다. 올해로 여덟번째 자리다. 한국산업사회학회가 매년 주최하는 이 자리는 어느새 한국 사회과학계의 대표적 행사로 자리잡았다. 사회학을 중심으로 정치학·경제학 등 한국의 비판적 사회과학자들이 명절치르듯 한자리에 모여 그동안의 고민을 토해내는 학술행사가 됐다.
지난 98년 1회 대회서 ‘변화하는 한국사회’를 주제로 잡은 이후, ‘구제금융 이후 노동정책’(2회), ‘새로운 민족공동체의 모색’(3회), ‘전지구적 자본주의’(4회·7회) ‘미국의 패권주의’(6회) 등 굵직한 화두를 잡아 이론적 모색을 거듭했다.
올해는 8년 전, 비판사회학 대회를 처음 시작할 때의 고민으로 다시 돌아가는 듯 하다. 주제가 ‘한국 사회의 전환과 발전 - 우리는 어디로 나아가야 하는가’이다. 97년 구제금융 직후의 혼란 속에 비판이론의 갈 길을 물었던 학자들은 2005년 다시 그 질문을 던진다.
다른 것이 있다면 98년의 번뇌가 외부 충격에 기인했던데 비해, 오늘의 그것은 한국 사회 안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점이다. 미리 배포된 주요 발표문들을 살펴보면, 학자들은 한국 사회가 진보의 동력을 잃어버린 핵심 지점으로 노무현 정부의 산업·경제·노동정책의 파행과 노동운동(또는 진보세력)의 내적 위기를 동시에 지적하고 있다.
조돈문 카톨릭대 교수는 노 정권의 산업·노동정책을 분석했다. ‘기업하기 좋은 나라’의 프로젝트는 성공했지만, ‘사회통합적 노사관계’는 완전히 실패했다고 지적한다. “대처의 성공신화를 한국에서 재현하기 위해 노무현 정권이 노동자 죽이기에 매진하고 있다”고 일갈한다.
그 기반에는 ‘고도성장’ 신화가 놓여 있다. 김상조 한성대 교수와 홍성태 상지대 교수는 이를 집중 비판한다. 김 교수는 “97년 이후 되돌릴 수 없는 구조변화를 경험했음에도 여전히 한국 사회가 과거 고도성장기의 낡은 질서를 그리워하고 있다”고 짚었다. 홍 교수는 “고도성장 패러다임에 따른 노동의 착취와 자연의 착취가 더이상 감내할 수 없는 수준에 이르렀다”며 한국 사회의 지향을 고도성장사회에서 ‘생태사회’로 전환할 것을 제안한다.
한편으로 노중기 한신대 교수는 노동운동의 전환을 촉구한다. 노 교수는 80년대 전투적 노조주의의 합리적 계승과 함께, 민주노조운동의 새로운 모델 마련을 제안한다. 그 핵심은 “계급적-정치적 연대의 확장”이다. 비정규직·여성·이주·특수고용 노동자들은 물론, “보수화하고 있는 중간계급 중심의 시민사회운동”까지도 연대의 대상이다.
이밖에도 사회운동, 여성의 사회권, 주한미군, 동북아평화 등 다양한 분야별 토론회가 마련돼 있다. 모두 18개 분야에 130여명의 학자가 발표와 토론에 나선다. 청중으로 참가할 학자와 학생을 더하면 규모는 더 커진다. 서울대 사회과학대 강의실 곳곳에서 4일과 5일 아침 9시30분부터 행사가 시작된다.
안수찬 기자 ahn@hani.co.kr
안수찬 기자 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