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낙청 서울대 명예교수
백낙청 교수 창비에 기고문
‘포용정책 2.0’ 업그레이드 제안
대한민국 헌법 사회주의까지 용인
북한인권 비판 “수긍할 대목 있어”
탈북주민 경험 통일자산으로 활용을 백낙청(사진) 서울대 명예교수가 계간 <창작과 비평> 기고문을 통해 대북 포용정책의 쇄신을 주창하고 나섰다. 이른바 ‘포용정책 2.0’이다. 이 개념은 백 교수가 지난해 9월 화해상생마당 심포지엄에서 첫선을 보인 뒤 올해 초 한반도평화포럼 토론회에서 재차 언급하면서 주목받았는데, 두 행사에서 오간 논평과 토론을 반영해 논지를 다듬고 내용을 보강한 ‘확장본’을 내놓은 것이다. 백 교수가 말하는 포용정책 ‘업그레이드’의 핵심은 “남북연합 건설을 향한 의식적 실천”과 “시민참여형 통일에 대한 확고한 인식”을 기존 정책 위에 장착하는 것이다. 여기엔 ‘비핵·개방·3000’으로 상징되는 이명박 정부의 퇴행적 대북정책에 대한 비판뿐 아니라, ‘포용정책 1.0’으로 평가받는 김대중 정부의 햇볕정책 역시 남북연합을 위한 실천 방안의 안출이나 시민참여의 제도화를 위한 구체적 고민을 담지 못했다는 성찰이 깔려 있다. 백 교수는 말한다. “한반도의 평화정착과 통일이 시민참여의 꾸준한 확대를 통해서만 가능한 장기적 ‘분단체제극복’ 과정이라는 인식이 애초부터 미약했으며, 이 과정의 핵심이자 6·15공동선언의 가장 빛나는 성취인 남북연합에 관해서 김대중 대통령 재임기간 내내 아무런 언급이 없었다.” 2차 정상회담을 통해 10·4선언이란 성과물을 내놓은 노무현 정부에 대해서도 백 교수의 평가는 후하지 않다. 노 대통령 개인은 평화통일에 이바지하려는 충정이 누구 못지않게 강했지만 “남북관계의 발전과 국내개혁의 밀접한 상호연관에 대한 통찰에서는 전임자보다 오히려 후퇴했다는 인상”을 준다는 것이다. 대표적 사례로 백 교수는 대북송금 특검을 꼽는다. “투명한 법치의 부분적 증대나 대야관계의 일시적 개선으로 얻는 것보다 남북관계 악화에 따른 국내 기득권세력의 강화가 훨씬 큰 손실이 되리라는 계산을 못했던 것 같다. 한마디로 분단체제의 작동방식에 둔감했던 것이다.” 그런데 포용정책에 남북연합을 위한 실천이 보강되어야 하는 이유는 뭔가. 백 교수가 볼 때 그것은 북한의 특수한 사정 때문이다. 평화협정이 체결되고 북-미관계가 정상화된다고 해도 북한 입장에선 그것이 체제안전에 대한 보장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란 얘기다. 남한의 존재 자체가 그들에겐 엄청난 위협이기 때문인데, 이런 상태가 지속되는 한 북한 집권세력은 ‘퍼주는’ 것만 챙기면서 개혁의 폭은 최소화하려는 욕구를 떨치기 어렵다는 게 백 교수의 생각이다.
백낙청 교수 창비에 기고문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