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 땅 3대 구라’ 백기완 자전적 이야기집
예전 피 끓던 청춘들, 지금은 다 어디에…
예전 피 끓던 청춘들, 지금은 다 어디에…
발터 베냐민이 그랬다. “이야기꾼은 자기 삶의 심지를 이야기의 불꽃으로 완전히 연소시키는 사람이다.” 백기완(76·사진) 통일문제연구소장은 이런 이야기꾼의 정의에 누구보다 꼭 들어맞는 사람이다. 그는 ‘남한 땅 3대 구라’의 한 명으로 불릴 만큼 빼어난 이야기 솜씨를 자랑해왔는데, 그 공인받은 입심의 원천으로 사람들은 현대사의 굴곡이 고스란히 인각된 그의 70여년 생애를 지목하곤 한다.
해방사상 정리 ‘절박감’…“죽기살기로 버텨”
고유명사를 제외하곤 모든 어휘를 순우리말로 풀어쓴 대목 또한 인상적인데, 그중에는 ‘맞대’(대답), ‘고칠데’(병원), ‘오랏꾼’(경찰) 처럼, 그 뜻을 짐작할 수 있는 말들도 있지만 ‘랭이 날래 듬직’(민중해방 사상), ‘검뿔빼꼴’(제국주의)처럼 의미를 종잡을 수 없는 것들도 있다. 사용하지 않아 잊혀진 우리말을 찾아낸 것도 있지만, 신조어나 전문용어의 경우엔 백 소장이 직접 만든 것도 적지 않은 탓이다. “그늘에 가려지고 땅에 묻히고, 그런 무지랭이 말들이 엄청나게 많아. 우리말 사전이란 게 있지만 바닷가에서 모래 한 줌 쥔 것처럼 부실하기 짝이 없어. 나는 그런 말들을 찾아내고, 없으면 빚어내려고 했어.” 근황을 묻자 “죽기 아니면 살기로 버티는 중”이라고 했다. 눈뜨면 들려오는 소식이 못내 불편하고 못마땅하지만, 나이를 핑계 삼아 뒷방에 물러앉을 수는 없다는 얘기다. 그래서 틈날 때마다 글을 쓴다고 했다. 우리 옛이야기 안에 담긴 민중해방 사상의 뿌리를 남은 생애 동안 정리해둬야 한다는 절박감 때문이다. “사실 우리처럼 옛날얘기를 좋아하는 민족이 흔치 않아. 신화, 전설, 설화 그런 거. 사랑방에 모여 나누던 이야기들. 나라도 기록하지 않으면 영영 사라져버릴 거 같단 말이지.” 그는 자신의 책을 지금의 10대나 대학생 세대들보다는 20~30년 전 거리를 함께 누비던 중·장년 세대가 읽어주면 좋겠다고 밝혔다. 그들은 <자주고름 입에 물고 옥색치마 휘날리며>나 <장산곶매 이야기> 등의 책을 통해 ‘운동가 백기완’보다 ‘이야기꾼 백기완’을 먼저 만난 세대이기도 하다. “그때 내 이야기를 듣고 발을 구르던, 내 ‘옥색치마’를 읽고 눈물 흘리던 젊은이들, 지금 다 어디서 무얼 하고 있는거야? 우리 이 책 읽고 같이 소리 내어 엉엉 울어보자 이거야.” 글 이세영 기자 monad@hani.co.kr, 사진 이정아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