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포럼-역사비평 필진들 상호비판
교과서포럼은 2005년 1월 출범했다. 중등 교육과정의 근현대사, 경제 및 사회, 도덕 및 윤리 교과서 등이 이념적으로 편향되어 있다고 비판하며 ‘대안 교과서’ 마련 및 현행 교과서 개정을 목표로 활동하고 있다. 이들은 현행 교과서가 대한민국 건국의 의미를 폄훼하고 북한 체제를 우호적으로 기술하는 등 ‘친북 좌편향’적이라고 비판한다. 정치학·경제학 등을 전공한 사회과학자와 서양사 전공자들이 주로 참여하고 있다. 반면 이번 <역사비평> 여름호에 글을 쓴 이들은 모두 한국사 전공자들이다. 이들은 교과서포럼의 역사관이 식민지배를 정당화하고 냉전반공 이데올로기에 머물러 있으며 과거 독재정권을 정당화한다고 비판한다.
여러 면에서 대조적이지만 두 학문 집단의 공통점도 있다. 우선 역사 서술의 일관성 부족을 이유로 상대를 비판한다. 교과서포럼 소속 학자들은 현행 역사교과서가 인권과 민주주의를 강조하면서도 북한 인권에 대해선 눈감고 있다고 지적한다. 반면 <역사비평>의 학자들은 교과서포럼이 탈민족주의를 외치면서도 국가주의에 경도되고, 북한의 독재를 비판하면서도 한국의 독재정권은 정당화한다고 지적한다.
자신의 본뜻을 ‘텍스트’를 통해 평가해달라는 주문도 닮았다. 교과서포럼의 박효종 서울대 교수(국민윤리교육)는 “일본 후소사판 교과서를 정말 읽어봤다면, 우리가 쓴 교과서를 ‘한국의 후소사판’이라는 식으로 비판할 수는 없을 것”이라며 “‘친일사관’ 등으로 낙인찍으려 말고 학문적 논쟁을 펼칠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주진오 상명대 교수는 “교과서포럼이 비방하는 현행 교과서를 한번이라도 살펴보면 친북좌경이라는 선전이 부당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며 “교과서포럼 소속 학자들이 학문적 냉정을 잃고 정치적 의도만 앞세우는 게 아닌지 의심된다”고 말했다.
이들은 “차분하고 냉정한 학문적 공론의 장에서 충분히 서로 논쟁할 수 있다”는 자세에서 다시 한번 만난다. 근현대사 논쟁이 생산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마지막 희망의 지점이기도 하다.
안수찬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