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작가들 미리 쓴 유언장 ‘오늘은 내 남은 생의 첫날’ 출간
오늘 하루가 나의 마지막 날이라면 당신은 누구에게 어떤 말을 남기고 싶은가?
재산과 지위를 물려주기 위한 부자들의 유언장은 흔하지만, ‘영혼과 더불어 산 자들’이라고 말할 수 있는 시인·작가들은 무슨 유언을 남길까?
생존한 문인 100여명의 가상 유언장을 묶은 책 〈오늘은 내 남은 생의 첫날〉(경덕출판사)에 담긴 마지막 말들은 한번쯤 숙연하게 자신의 유언을 생각하게 만든다.
우선 가족들에게.
소설가 공선옥은 큰아이에게 이렇게 당부한다. “동생들 앞에서 의연해라… 그래도 엄마가 정 생각나거든 어디 양지바른 강가에 나무 한 그루 심어두고, 오다가다 그 나무를 가꾸면서, 그게 바로 엄마거니 여기며 한 세상 재미있게 살다가 이 어미랑 만났으면 싶다.” 시인 도종환은 “나는 네가 자란 동안 한번도 너를 매로 다스리지 않았다. 너도 네 자식과 남에게 매를 들지 말거라”라는 유훈을 아들에게 새긴다.
안명희 작가는 자식들에게 “혹시 내가 간 후에 아버님이 너무 쓸쓸해하시면 새어머니를 맞아 편히 지내보도록 보살펴드려라”라고 홀로 남을 남편에 대한 걱정과 애정을 감추지 않았다.
자신과 지인, 혹은 세상에게 남기고 싶은 유언들은 이렇다.
시인 성춘복은 “마음이 건강했고 나름대로 나만의 행복을 추구했던 만큼 그 누구도 눈물을 흘리지 말라”고 말한다. 소설가 유현종은 아들을 통해 스스로 묻는다. “폭압의 역사를 살아내면서 문행일치를 보이지 못하고 산 것은 수치스럽고 창피하다. 작품으로뿐만 아니라 몸으로 막아 싸웠어야 하는데 늘 주저하다가 뒤로 물러나 앉았다.” 유씨는 그러면서도 “나는 좋아하는 일로 일용할 양식을 구하며 살아왔으니 다시 태어나도 작가가 되련다”라며 문인다운 긍지를 버리지 않는다.
소설가 전상국은 “너희(작품)를 만들 때의 그 신명이 내가 이 세상에서 사라진 뒤에도 독자들의 가슴에 스미기를 꿈꾼다”며 자신의 소설이 한 시대의 고뇌와 외로움에 대한 담담한 증언이었음을 말한다. 지난해 작고한 시인 이형기는 ‘무소유’ 한마디를 남기고 갔다.
이재명 기자 mis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