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균 통한 나무들의 소통 확인한 캐나다 삼림학자
“오래된 나무는 주변 묘목들의 허브이자 어머니”
무차별 벌목과 단일 수종 식재 관행에 일침
“오래된 나무는 주변 묘목들의 허브이자 어머니”
무차별 벌목과 단일 수종 식재 관행에 일침
미송 어머니 나무. 이 나무는 브리티시컬럼비아 연안 우림에서 1세기를 살았다. 근처에 있는 나무들은 미송, 이엽솔송나무, 투야 플리카타이고, 숲 하층부에는 폴리스티쿰 무니툼, 레드 허클베리가 풍성하다. 사이언스북스 제공. ⓒ Bill Heath
숲속의 우드 와이드 웹
수잔 시마드 지음, 김다히 옮김 l 사이언스북스 l 2만5000원 나무들은 더 많은 햇빛을 받기 위해 주변의 다른 나무보다 높은 곳으로 솟아오른다. 땅속에서는 물과 양분을 가능한 한 많이 흡수하고자 어지럽고 사납게 뿌리를 뻗는다. 인체에 이롭다고 알려진 피톤치드는 나무가 주위의 균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자 내뿜는 독성 물질로, ‘식물’(phyton)과 ‘죽이다’(cide)라는 어원에서 보듯 적대적인 성질을 지닌다. 요컨대 나무의 생장은 경쟁에 기반한다는 것이 오래도록 진화론에 입각한 상식적 설명이었다. 캐나다의 식물학자 수잰 시마드는 1997년 8월 과학 전문지 ‘네이처’ 표지로 실린 논문에서 미송과 자작나무가 광합성 탄소를 주고받는다는 사실을 밝혀 이런 진화론적 ‘상식’을 뒤집었다. 그의 논문에 따르면 두 수종은 땅속의 진균 네트워크를 통해 물과 양분을 주고받으며 협력과 공생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네이처’는 이런 시마드의 발견을 가리켜 ‘우드 와이드 웹’(Wood-Wide-Web)이라고 불렀다. 그보다 몇 년 전인 1989년에 출현한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에 빗댄 표현이었다. 월드 와이드 웹이 전선이나 전파로 연결된다면 우드 와이드 웹은 균근균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점이 차이였다. 시마드가 2021년에 낸 ‘어머니 나무를 찾아서’는 우드 와이드 웹으로 대표되는 그의 발견을 중심으로 지은이 자신의 학문 여정과 개인사를 병렬 서술한 책이다. 캐나다 서부 브리티시컬럼비아의 목재업 가문에서 태어난 시마드는 비록 계절직이긴 하지만 벌목 회사 최초의 여직원으로 취직해 나름대로 가업을 잇게 되었다. 그곳에서 그가 맡은 업무는 목재용 어린나무를 심기 위해 오래된 나무를 베어내는 일이었는데, 멀쩡한 나무를 베어 없애는 업무를 “처형자 역할”이라 표현할 정도로 죄책감에 시달린다. 게다가 그는 그 과정에서 나무뿌리에 거미줄처럼 붙어 있는 균사체의 존재에 눈을 뜨게 된다. “땅속에 있는 거미줄같이 생긴 균사들이 나무와 식물들을 서로 이어 주면서 전체 공동체를 위해 절실히 필요한 수분을 잡아 두고 있는 것은 아닐까?”라는 이 무렵의 궁금증이 발전해 우드 와이드 웹 논문을 낳은 것이다.
투야 플리카타 어머니 나무와 자손들. 일단 가지에서 뿌리가 단단히 내리면 어린나무는 부모 나무로부터 떨어져 나온 개별 나무로 자란다. ⓒ Jens Wieting
투야 플리카타 어머니 나무에 기대 앉은 수잰 시마드. 사이언스북스 제공. ⓒ Diana Markosian
투야 플리카타 할머니 나무. 나이는 1000살로 추정된다. ⓒ Jens Wieting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사설] 노동자 안전 뒷전 중대재해법 후퇴가 민생 대책인가 [사설] 노동자 안전 뒷전 중대재해법 후퇴가 민생 대책인가](http://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300/180/imgdb/child/2024/0116/53_17053980971276_20240116503438.jpg)

![[올해의 책] 숙제를 풀 실마리를 찾아, 다시 책으로 ①국내서 [올해의 책] 숙제를 풀 실마리를 찾아, 다시 책으로 ①국내서](http://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800/320/imgdb/original/2023/1228/20231228503768.jpg)
![[올해의 책] 숙제를 풀 실마리를 찾아, 다시 책으로 ②번역서 [올해의 책] 숙제를 풀 실마리를 찾아, 다시 책으로 ②번역서](http://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500/300/imgdb/original/2023/1228/20231228503807.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