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부산 동구 일본영사관 앞에서 부산겨레하나 주최로 열린 일본 초등학교 교과서 역사왜곡 규탄 기자회견에서 참석자들이 일본역사왜곡 교과서를 찢는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동학농민전쟁, 3·1운동, 관동대지진을 둘러싼 시선
와타나베 노부유키 지음, 이규수 옮김 l 삼인 l 1만8000원 지난 16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총리의 정상회담 후폭풍이 계속되고 있다. 강제동원 피해자에게 ‘제3자 변제’ 방식으로 배상한다는 윤 대통령의 발표에 ‘굴욕 외교’라는 강한 반발이 터져 나온다. 반대로 일본에선 기시다 총리의 지지율이 큰 폭으로 상승했다. 과거사에 대한 한국 국민과 일본 국민의 인식 차이가 여전히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는 사실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다. 역사 전문 기자로 40년간 활동해온 일본인 저자는 단순하지만 근본적인 질문을 평범한 사람들의 눈높이에서 던진다. ‘한국과 일본은 왜 역사를 두고 다투는가?’ 강제동원 피해자가 제기한 손해배상 소송을 둘러싼 갈등에 돋보기를 들이댄 저자는 식민지배가 합법이라는 일본과 불법이라는 한국의 인식 차이를 마주한다. ‘합법적인 한국 병합’이라는 대부분 일본인의 생각에서 출발했지만 저자는 다양한 기록을 검토하며 숱한 의문을 갖게 된다. 의문은 많은 일본인이 ‘조선인 학살은 없었다’고 생각하는 관동대지진, 동학농민운동 등으로 꼬리에 꼬리를 문다. 결국 이러한 인식 이면에 가해의 역사를 은폐하고 망각하려 한 일본 사회의 맨얼굴을 마주한다. 오랜 조사와 자료검토를 통해 정부와 군이 기록을 없애거나 학살을 축소하는 식으로 역사를 왜곡하려 했다는 다수의 정황을 발견한다. 오랫동안 꼬인 한·일 갈등 앞에서 저자도 뾰족한 해법을 내놓지는 못하지만, 지금 두 나라의 구성원들에게 반드시 필요한 조언을 던진다. “역사를 정치의 도구로 만들어서는 안 된다. 그러기 위해 무엇이 필요할까. 무엇보다 요구되는 것은 한 사람의 시민으로서 냉정하게 역사를 바라보는 시각인 것 같다.” 이승준 기자 gamj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