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영희 지음, 인예니 옮김 l 마음산책 l 1만5000원 재일조선인 2세 양영희(59) 감독은 <디어 평양>(2006) <굿바이 평양>(2011) <가족의 나라>(2012) <수프와 이데올로기>(2021)라는 연작성 다큐 및 극영화에, 국가 체제에 포박된 기구한 가족사를 유장하게 담았다. 감독의 오빠들을 70년대 북송시킨 부모의 결정과, (결혼 전) 부모가 각기 4·3 학살을 피해 오사카로 이주한 결정은 조국과 가족이 ‘살고자’ 원초적으로 욕망되고 꿈꾸어진다는 점에서 다르지 않다. 조국에 대한 욕망이 배반당하고, 욕망을 신념화하고 말하자면 국유화하려는 조국을 그럼에도 또 배반할 수 없는 민중의 생애는 거대한 퇴적암에 짓눌린 채로도 꿈틀대는 단층의 표정 같다. 마침내 양영희는 그 질곡의 운명 아래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장 생동하고 꿈틀댔을 자신의 사랑 이야기를 적이 파스텔톤 글로 그렸다. 첫 장편소설 <도쿄 조선대학교 이야기>. 총련계 재일조선인이 다수였던 오사카 한 마을에서 나고 자란 주인공 박미영은 연극인의 꿈을 안고 도쿄에 있는 조선대학교(조대)에 진학한다. 1983년 봄. 그가 4년을 기거할 대학 기숙사는 휘황한 도쿄 속 불 꺼진 평양과 같다. 18시 통금, 남녀 별도의 식당, 토요일 외출금지, 수업 시 흑·남색 치마저고리 착용, 청바지·염색·화장 금지, 밤 11시 생활총화(자기반성 상호비판 모임) 등등. 조대는 총련 인재 양성 학교로서 규율이 엄격하고, 문학부를 선택한 미영의 진로는 입학식 당일 이미 교사로 정해진 듯했다. “마음속 비명”을 지르는 데서만 그쳤다면 미영, 아니 양영희의 조대 졸업 뒤 실제 교사 경력(오사카조선고급학교)은 더 길어졌거나 여전했을지도 모른다.
양영희 감독은 첫 극영화 <가족의 나라>(2012)로 상을 받는 행사에서 일본 출판사의 편집자로부터 소설 권유를 받았다. 자유롭게 소재를 선택하라는 편집자 말에 망설임 없이 대학 시절 경험에 사랑 이야기를 섞어 쓰고 싶다고 했다고 한국어판 작가의 말에 썼다. 마음산책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