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300/465/imgdb/original/2023/0105/20230105503594.jpg)
김홍중·우다영·정지돈·최진영 지음 l 이음 l 1만2000원 최진영 작가의 단편 ‘썸머의 마술과학’의 화자는 16살 이봄과 10살이 안 된 여동생 이여름이다. 지켜야 할 이름으로 부모가 지었을 터, 정작 그 어른들의 삶은 위태롭고 때로 무책임하다. 2022년 ‘아빠’는 매주 참석하는 모임 ‘토해술’에서 얻은 정보로 가상화폐에 투자했다가 3억이 넘는 사기를 당한다. 아빠는 엄마와 다투고, 봄은 반평생 마스크를 쓴 탓에 마스크로 안전함을 느끼는 여름의 귀도 슬며시 닫아준다. 사기 뒤에도 그저 태연한 아빠에게 봄은 독하게 따진다. “아빠가 하는 건 투자가 아니라 도박이야. 그리고 아빠는 부자가 아니야… 근데 왜 자꾸 부자인 것처럼 말을 해?…” “아빠가 차라리, 앞으로 이십 년 동안 매달 얼마씩 갚아야 해결될 거라고 말했으면 나도 그러려니 했을 거야. 그래도 뭔가 대책이 있구나 생각했을 거고… 아빠 욕심으로 벌인 일에 왜 우리 핑계를 대냐고…” 봄의 일방적인 힐책을 지켜본 여름은 이렇게 (소설 화자로서) 구술한다. “아빠 얼굴이 밟힌 홍시에서 자동차 바퀴에 여러 번 깔린 홍시로 변해갔다.” 라면과 소주를 싱크대에 들이붓고 집을 뛰쳐나가기 직전. 자매가 번갈아 화자가 되어 제 시선들로 이야기를 교직하는 장치의 영특함은, 기후 문제를 다 아는 척 천연스레 후대에 더 많은 부담을 떠넘기는 기성세대를 풍자하는 데 그치지 않고, 세대 간, 나아가 더 촘촘한 세대-자매간에도 노정되는 기후 문제에 대한 인식, 위악과 위선을 오가는 행동 격차를 체감시키며 가장 적실한 비전을 모색하려는 데 있다. 말인즉, “그만하라고” 해도 “그게 안 되”는 어른들 더 추궁하려기보다, 여름을 끔찍이도 아끼는 봄의 마음이라도 옹근 간수해보려는 절박함이랄까. 때로 불안해하는 동생에게 “난 절대 너 때문에 화를 내지 않아”, “엄마 아빠에게 야단맞을 때보다 썸머(여름)가 실망했다는 표정으로 나를 바라볼 때 더 진땀이 나고 조급해진다” 따위 봄의 말은 다짐이자 여름의 믿음에 대한 복창이고, 그 밖의 세계에 대한 비토다. “(토해술) 거기서 건지는 정보가 얼마나 많은데. …금값보다 비싼 정보를 술술 말한다니까. 술은 촉진제 같은 거지”(아빠) 같은 어른세대의 거짓은 귀 닫자는 툰베리식 조롱. 아, 토해술은 ‘토요일 해장술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이다. 전날 과음한 이들의.
![최진영 작가. 창비 제공 최진영 작가. 창비 제공](http://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400/267/imgdb/original/2023/0105/20230105503595.jpg)
최진영 작가. 창비 제공
![우다영 작가. 문학과지성사 제공 우다영 작가. 문학과지성사 제공](http://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400/400/imgdb/original/2023/0105/20230105503592.jpg)
우다영 작가. 문학과지성사 제공
![정지돈 작가. 문학실험실 제공 정지돈 작가. 문학실험실 제공](http://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640/427/imgdb/original/2023/0105/20230105503593.jpg)
정지돈 작가. 문학실험실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