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책&생각] ‘복지=낭비’라는 거짓말

등록 2022-11-25 05:00수정 2022-11-25 09:43

복지의 문법
부유한 나라의 가난한 정부, 가난한 국민
김용익·이창곤·김태일 지음 l 한겨레출판 l 1만8000원

“복지에 돈을 쓰면 그것으로 끝인가?”

노무현 정부 청와대 사회정책수석비서관, 19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위원, 국민건강보험공단 이사장 등을 거치며 사회정책 설계·실행에 관여해 온 김용익 서울대 의과대학 명예교수는 ‘복지 비용을 현 국가 재정으로 감당할 수 없다’는 주장에 이렇게 반문한다. 현재 소득 하위 70% 노인은 매달 기초연금 30만원을 받아 무엇인가를 산다. 이 순간, 비용이라는 복지는 소비라는 경제로 전환된다. 재정 지출을 통해 소비가 지속되면 국가 경제 전반의 생산능력을 자극하고 이는 다시 고용·소득 증가→세수 확대로 이어질 수 있다는 의미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이사장 시절의 김용익 서울대 의과대학 명예교수. <한겨레> 자료 사진
국민건강보험공단 이사장 시절의 김용익 서울대 의과대학 명예교수. <한겨레> 자료 사진

이 책의 대표 저자인 김용익 교수는 복지정책이 선순환 경제를 이끌 수 있다는 사실이 각인돼야 우리 사회에 팽배한 ‘복지=낭비’ 프레임을 넘을 수 있다고 강조한다. 복지 분야를 오래 취재해 온 이창곤 〈한겨레〉 선임기자 겸 논설위원과 한 대담을 통해 한국 복지정책의 문제를 짚고 과제를 제시했다. 여기에 더해 김태일 고려대 행정학과 교수가 복지재정 확충 방안을 집필했다. 이들은 한국은 경제 규모로 봤을 때 부자 나라에 가깝지만 나라 살림은 가난하고, 국민 삶과 직결되는 복지 예산은 유난히 더 작다고 진단한다. 양극화·저출산·고령화 난제를 풀기 위해선 각 사회보장제도를 종합·재설계하고, 국가 재정을 투입해 사회 전체에 이익을 남기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본다.

세금과 사회보험료가 공정하게 걷히고 투명하게 관리돼 내게 그 혜택이 돌아온다는 ‘사회적 신뢰’를 쌓기 위한 나름의 해법도 담았다.

박현정 기자 sara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신라왕실 연못서 나온 백자에 한글 ‘졔쥬’ ‘산디’…무슨 뜻 1.

신라왕실 연못서 나온 백자에 한글 ‘졔쥬’ ‘산디’…무슨 뜻

‘정부 대변인’ 유인촌 “계엄 전부터 탄핵 탓 국정 어려워”…계엄 합리화 2.

‘정부 대변인’ 유인촌 “계엄 전부터 탄핵 탓 국정 어려워”…계엄 합리화

중립 기어 밟는 시대, 가수 이채연의 ‘소신’을 질투하다 3.

중립 기어 밟는 시대, 가수 이채연의 ‘소신’을 질투하다

환갑의 데미 무어, 젊음과 아름다움을 폭력적으로 갈망하다 4.

환갑의 데미 무어, 젊음과 아름다움을 폭력적으로 갈망하다

“내가 정치인이냐? 내가 왜?”… 임영웅 소속사는 아직 침묵 중 5.

“내가 정치인이냐? 내가 왜?”… 임영웅 소속사는 아직 침묵 중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